서영권 창원시의원(자산·교방·오동·합포·산호동)이 시내버스업체 도산 위기에 적극적 대응을 주문했다.
이같은 사실은 12일 열린 제143회 창원시의회(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나왔다.
서 의원은 "시내버스는 학생·노인·장애인 등 교통약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필수적인 교통수단이다"며 "업체가 직면한 도산 위기는 시민들의 이동권 침해는 물론이고 업체에 종사하는 운전기사·정비사·사무직 등 수많은 근로자의 일자리 위기이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민간업체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사전에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볼 때 효율적인 행정 운영 방식이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서 의원은 "과거에도 국가적으로 중요한 산업이 도산 위기에 처했을 때 공익적 차원에서 정부가 개입한 사례들이 있다"면서 "코로나19 기간에도 항공과 운송업 등 공공성이 강한 산업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국가에서 긴급 지원책을 마련해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서 의원은 "대중교통이 마비될 경우 사회적 혼란이 불가피하므로 철도·지하철 파업 때 정부가 적극 개입해 조정에 나서는 것"이라고 하면서 "전국적으로 문제되고 있는 시내버스 업체들의 도산 위기와 그에 따른 사회적 파장에 대해 조명해 보고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영권 창원시의원은 "대내외적으로 힘든 시기이지만 더 늦기 전에 창원시가 적극적으로 대응해 근로자·업체·지자체 모두가 상생할 수 있도록 정부와 협력하기를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시내버스업체 도산 위기 대응을 이렇게 설명했다.
"중앙정부에 사회재난 인정을 요청하고 지원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적극 건의해야 한다. 또 정부나 지자체 차원의 장기 저리 대출 지원과 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더욱이 지자체 차원의 협의체를 구성해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피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