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모델로 주목받은 광주글로벌모터스(GGM)의 노사가 노사민정 조정중재특별위원회의 중재안에 대한 수용을 놓고 평행선을 달리며 갈등이 장기화되고 있다.
노조는 헌법이 보장한 노동3권을 침해받고 있다며 상경 투쟁에 나설 계획이고, 사측은 현대차 물량 축소에 따른 공멸 가능성을 경고하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9일 전국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 GGM지회 등에 따르면 노조는 전날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노사상생발전협정서 내용대로 노동3권 완전한 보장이 교섭의 출발점"이라며 "경영진이 진정한 노사상생을 원한다면 조합 활동을 인정하고 교섭에 성실히 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노조는 조기에 협상을 마무리하자는 사측 제안에 기존 200여 개의 요구안을 절반 수준인 98개로 줄였으나, '누적 생산 35만대까지 파업 유보' 조항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노조는 해당 조항이 헌법이 보장한 노동3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한다. 노조는 "해당 조항은 노조의 파업권을 3~4년간 봉쇄하는 반헌법적 조치"라며 "노조는 생산협력과 2교대 추진 협조 등 조기 타결을 위해 최선을 다했으나, 사측은 상생협정서, 중재안, 주주단 입장을 내세워 성실 교섭을 회피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앞서 노사민정 조정중재특별위원회는 지난달 중재안을 제시하며 노사와 광주시에 수용을 요청했으나, 노조는 헌법 위반 소지가 있는 파업 유보 조항 등을 이유로 거부했다. 이로 인해 중재안은 사실상 무산됐고, 4월 노조·사측 각 2명의 4차례 실무교섭을 거쳐 5월부터 본격적인 단체교섭이 시작됐다.
하지만 양측 입장 차이는 좁혀지지 않았고 노조는 오는 15일 단체교섭에서 사측이 구체적 수정안을 제시하지 않으면 전체 조합원 파업으로 확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 오는 13일에는 더불어민주당 중앙당, 현대차 본사 등을 대상으로 상경투쟁도 예고했다.

권오산 금속노조 노동안전보건국장은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현실적인 협상을 위해 많은 요구를 내려놨지만, 사측은 핵심에 대한 입장을 전혀 내놓고 있지 않다"며 "다음 주 화요일을 기점으로 상경투쟁을 벌이고, 이후 교섭도 진척되지 않으면 전체 조합원 파업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반면 GGM 관계자는 "정치적 시위로 해결될 사안이 아니다"며 선을 그었다. 이어 "현대차가 GGM에 배정하는 물량이 줄면 공멸의 길로 갈 수 있다"며 "현대가 원해서 들어온 공장이 아니라 노사상생협정서 하나를 보고 들어온 것인데, 노사 갈등이 격화되면 기존 물량마저 잃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