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4억 투입해 올해 말 완공, 사용후 배터리 분석 고속 평가 시스템 도입
배터리 잔존 성능 및 안전성 평가…재사용, 재활용, 재제조 가능 여부 판단
경북 포항시가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국가 핵심 인프라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포항시는 8일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서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인라인 자동평가센터’ 착공식을 열고, 전기차 배터리 순환경제 실현의 전진기지로서 첫 삽을 떴다.
이번 사업은 환경부와 경상북도, 포항시가 공동으로 추진하는 대형 국책 사업으로, 총사업비 334억 원(국비 100억 원, 지방비 234억 원)이 투입된다.
센터는 올해 말 완공을 목표로, 연간 3만 대 이상의 사용 후 전기차 배터리를 자동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고속 진단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는 하루 최대 처리 가능 물량은 약 150대 수준이다.
인라인 자동평가센터는 사용후 배터리의 모듈 및 팩 단위에서 성능, 잔존수명, 안전성을 정밀하게 분석해 등급별로 재사용, 재제조, 재활용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동화 기반 설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는 국내 전기차 배터리 순환이용 체계 구축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날 착공식에는 이강덕 포항시장, 안세창 환경부 기후탄소정책실장, 김학홍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김일만 포항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산학연 관계자와 지역 주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이번 센터는 사용후 배터리를 정밀하고 신속하게 평가할 수 있는 자동화 기반을 마련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포항이 국가 배터리 순환이용 산업의 중심축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행정적·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포항시는 지난 2019년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 이후, 이차전지 종합관리센터 운영, 자원순환 클러스터 조성 등 배터리 관련 산업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충해 왔다.
특히 오는 6월에는 환경부 주관의 ‘전기차 배터리 자원순환클러스터’ 준공이 예정돼 있어, 지역 내 산학연 협력 생태계도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또한 전기차 보급 확대와 함께 사용후 배터리의 안전성 문제와 재자원화 필요성이 산업계와 정부 차원의 주요 과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이번 평가센터는 국내 순환경제 전환에 중추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