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통령 관저 이전 문제를 두고 여론의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청와대에서 근무한 바 있는 더불어민주당 윤건영 의원은 "1단계로 광화문 청사로 가는 게 맞는다"며 "일단 현실적으로 단기간 쓸 사무 공간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의원은 21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새 대통령이) 용산으로 들어갈지 청와대로 들어갈지 이전에 보안 조치를 위해서 1단계로는 광화문 청사로 가는 게 맞는다"고 언급했다.
윤 의원은 이어 광화문 청사 이후 "청와대가 됐든 용산이 됐든 보안 조치가 반드시 필요하다. 보안 조치 이후 어디로 갈 건지 2단계로 결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의원은 대통령실 이전은 최종적으로 3단계까지 결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1단계 광화문, 2단계 이후 보안 조치 후) 3단계로 장기적으로 세종으로 갈지, 아니면 제3의 장소로 갈지 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사용한 용산 청사의 경우 보안 취약점이 문제였다고 지적했다. 윤 전 대통령이 이곳에 머무르는 당시 미 중앙정보국(CIA)의 도청 논란이 일어난 바 있다.
윤 의원은 "(CIA가 하는) 도청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건물 외벽을 쏘면서 (정보를) 잡는다. 용산 대통령실은 도청에 너무 취약하다. 지금도 마음만 먹으면 (도청을) 할 수 있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윤 의원은 윤 전 대통령 파면 후에도 이른바 '캣타워-편백욕조' 논란을 두고 '거론된 것보다 가격이 싸다'는 윤석열 측 입장에 "전혀 해명이 아니"라며 "엉뚱한 물타기를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통령실은 캣타워 가격은 알려진 500만 원이 아니라 170만 원이라고 해명했다. 또 2000만 원 수준의 히노키 편백욕조는 1인용으로, 과거 청와대는 최대 4개의 히노키 욕조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우선 캣타워 관련 해명을 두고 "변명을 하는데 입증할 증거는 내놓지 못한다"며 "자신이 있다면 행정안전부가 가지고 있는 계약서를 내놓으면 된다"고 반박했다.
또 "본질은 (가격이 아니라) 대통령의 사적 영역에서 고양이를 키우는 데 공금을 사용했다는 것"이라고 일침했다.
윤 의원은 500만 원과 170만 원 주장 간 330만 원의 격차가 나는 데 대해서는 "이중계약일 수도 있는 사안"이라고 지적했다. 이 경우 횡령 가능성도 있다고 윤 의원은 설명했다.
"(500만 원이라고 된) 계약서가 맞는다면 21그램이 거짓말을 하든 대통령실이 거짓말 하든 둘 중 하나는 거짓말"이고 "분명한 건 계약 주체인 행안부가 속았다는 것"이라고 윤 의원은 강조했다.
히노키 편백욕조 해명에 관해 윤 의원은 "그게 바로 물타기"라며 "(편백욕조를 최대 4개 운영했다는) 청와대는 과거 노태우 정부 때부터 쭉 있던 기관"이라고 설명했다.
윤 의원은 "문제는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구별 못하고 있는 것인데 (윤 전 대통령 측은) 국민들이 바라보는 본질에 전혀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며 "자신들의 잘못이 어디에 있는지를 모르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꼬집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