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정선 광주광역시 교육감 취임 이후 광주교육청이 채용비리 의혹과 낮은 청렴도, 연이은 검찰수사에 휘말리며 안팎으로 흔들리고 있다.
18일 광주교육청 등에 따르면 이 교육감은 취임 불과 두 달 만인 지난 2022년 9월 고교 동창 유모씨를 감사관으로 채용했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분란의 서막이 올랐다.
유씨는 면접평가에서 2순위 안에 들지 못했지만, 인사팀장 최씨가 면접위원들에게 "너무 젊은 분은 아니었으면 한다"고 말한 이후 점수가 16점이 올라 2위의 점수로 최종 임용됐고, 논란이 일자 7개월여 만에 자진 사퇴했다.
이후 2024년 10월 검찰 수사로 전환되며 전 인사팀장 최모씨가 구속기소되며 교육감 측근에 대한 수사도 본격화됐다.
결국 2025년 3월 광주교육청을 비롯해 이 교육감의 집무실과 차량, 자택 등이 압수수색을 당하면서, 조직 내부는 '비상체제'에 돌입했다. 급기야 지난 9일에는 이 교육감의 최측근으로 알려진 퇴직 간부도 수사선상에 올랐다.
17일 진행된 최씨의 재판에서는 당시 면접전형 심사위원 교육청 간부 A씨와 실무를 맡았던 주무관 B씨 명이 증인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광주교육청은 해당 사안에 대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이젠 다들 말을 아낀다"며 "그저 조용히 지나갔으면 좋겠다는 생각 뿐"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 같은 교육청 인사비리 의혹은 청렴도 평가에 그대로 반영됐다.
광주교육청은 2023년 국민권익위 청렴도 평가에서 4등급(미흡)을 받은 데 이어, 지난해에는 청렴체감도 분야에서 5등급(아주 미흡)으로 추락했다.
광주교육청 산하기관인 교육시민협치진흥원에는 한때 '오직 청렴'이라는 현수막이 걸렸지만, 압수수색 이후 해당 문구는 '청렴이 협치다'로 교체됐다.
김영래 광주교육청 감사관은 "외부청렴도 평가가 낮은 건 사실"이라며 "3년째 이어진 교육감 관련 이슈 영향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고, 내부적으로도 개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교육청 내부에서는 이 교육감의 언론 대응에서의 미숙한 부분도 지적했다.
익명을 요구한 관계자는 "교육감이 정치를 하던 분이 아니다 보니 위기대응이 능숙하지 않다"면서 "언론에서 떠들고 있지만, 최근 수사가 지지부진한 걸 보면 뚜렷한 혐의점이 없는 것 아니냐는 말도 있다"고 전했다.
이정선 교육감측 역시 "지난달 세 번째 압수수색은 예상 못 한 조치"라며 "제출할 자료는 다 제출했으며 더 나올 것이 없다. 구속 시점 등을 볼 때 검찰의 정치적 의도가 있는 것 아닌가 의심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삼원 광주교사노동조합 위원장은 "사무관이 모든 걸 단독으로 결정했다고 믿는 사람은 없다"며 "교육감의 개입을 합리적으로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질책했다.
그러면서 "교육감은 한때 '모르는 사람이고 언론보도를 보고 알았다'고 했다가 급기야 작년 국감에서는 '고교 동창이 지원한 걸 알고 반가워 우호적으로 평가하고 싶은 마음은 있었다'고 인정했다"며 "이쯤 되면 시인한 것"이라고 이 교육감에 대한 책임을 추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