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격적인 여행경비 지원으로 대한민국 관광산업에 돌풍을 일으킨 강진 '반값여행'이 지역경제에 훈풍을 불어넣고 있다.
17일 강진군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반값여행 실적은 그야말로 '초대박'이다.
3개월간 2만 7000여팀이 사전 신청했으며, 신청을 통해 강진을 방문한 관광객들이 관내 1453개 업소에서 40억원 이상을 소비했다.

소비 비중은 외식업 40%, 소매업 27%, 숙박업 24%, 기타서비스업 6%, 1차산업 1%로 나타났다.
또한 모바일 강진사랑상품권으로 지급된 반값여행 정산금 약 8억700만원은 785개 가맹점에서 사용됐다. 업종별 사용 비중은 외식업 35%, 소매업 31%, 1차산업 17%(온라인 쇼핑몰 '초록믿음 강진' 포함), 기타서비스업 14%, 숙박업 2%였다.
이처럼 짧은 3개월간 48억원 이상이 지역에서 소비되며, 자영업 폐업·소비 위축·내수 침체라는 국가적 위기 속에서도 강진은 '소비 돌풍'의 중심에 섰다.
특히, 반값여행의 영향으로 모바일 강진사랑상품권 1분기 사용액이 전년 대비 127% 이상 증가(출처: Chak)해 지역 내 화폐 순환을 통한 소비 진작 효과를 톡톡히 보였다.
한국관광데이터랩에 따르면 올해 1월 강진의 관광소비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6.8% 증가했으며, 방문 인구도 29% 늘어나 내수경제 회복과 생활인구 증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것으로 분석된다.
전국 최초로 시도한 강진군의 반값여행은 강진에서 소비한 비용에 대해 50%를 강진군 지역화폐인 강진사랑상품권으로 되돌려주는 관광과 경제가 결합된 정책이다.
관광객이 강진을 찾아 식당에서 소비하면, 식당은 지역 농산물을 더 많이 구매하고 이는 가공업, 자영업 서비스업 매출 증가로 이어지며 결국 더 많은 일자리와 고용이 생겨 군민들의 소득도 함께 늘어나는 승수효과를 만들어 낸다.
실제로 호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전남 지역의 도소매·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만 5000명 증가했으며 강진 반값여행 등 지자체 관광상품 수요 증가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강진군은 반값여행을 통해 생활인구 증가-지역경제 회복-군민소득 증대로 이어지는 경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가며 당면한 위기를 돌파하고 있다. 이제는 이러한 성공 모델이 지역을 넘어 내수 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정책으로 확대돼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강진원 강진군수는 "반값여행이 우리 지역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며 "이제는 강진의 '반값여행'이 강진형 모델을 넘어 내수경제 활성화를 위한 국가적 정책으로 확대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