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대선후보 경선이 3파전으로 확정되며 본격적인 대선 국면에 접어드는 가운데, 이재명·김경수·김동연 예비후보가 16일 세월호 11주기 기억식에 일제히 참석했다.
이재명 후보는 행사 참석에 앞서 페이스북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나라, 보다 안전하고 안심할 수 있는 진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은 국가의 책임이다. 바로 세우겠다"고 썼다.
그는 "참사로 희생된 국민의 아까운 목숨이 헛되지 않고, 더는 유가족들이 차가운 거리에서 외롭게 싸우지 않도록, 국가의 책무를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예비후보는 또 "대통령실을 국가안전 재난·안전 관리 컨트롤 타워로 복원하고, 국가의 안전 책무를 법률에 명시하겠다"며 "현장 중심 재난 지휘권을 강화하고, 국민 참여 생활안전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재해·재난 예방과 대응도 더 촘촘히 하겠다. 산불, 수해, 땅꺼짐(싱크홀), 항공사고 등 자연·사회재난 전반에 대한 통합 대응 체계를 마련하겠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보다 소중한 가치는 없다. 그 책임을 끝까지 지겠다"고 밝혔다.

김경수 후보도 페이스북에 "세월호 참사 이후 안전한 나라를 만들고 다시는 이러한 일이 없어야 한다고 했지만 현실은 그러하지 못했다"며 "이러한 재난들에 대비하기 위해 노무현 정부가 애써 만든 국가 위기관리 실무 매뉴얼을 이명박 정부는 들춰보지도 않고 처박아 버린 건 유명한 일화"라고 지적했다.
이어 "보수정권은 참사가 생기면 책임을 회피하고, 언론을 통해 문제의 본질을 흐리기에 바빴다"며 "게다가 권위적인 정권일수록 실무자들은 윗선의 지시와 판단을 기다리느라 시간을 지체하곤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것은 국가가 해야 할 최소한의 역할이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권에서는 이태원 참사를 비롯한 참사가 반복되었다. 세월호 참사의 기억을 망각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또 "망각은 또 다른 참사의 시작이다. 다시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되새기고 또 되새기겠다"고 말했다.
김경수 후보는 이날 경제 공약을 발표하며 "AI 주권 확보와 산업의 전환에 향후 5년간 총 100조원 규모 민관 공동투자를 이뤄낼 것"이라며 이 예비후보의 AI 분야 100조원 투자 공약에 '맞불'을 놓기도 했다. 그는 "전략적 국가 투자로 정부가 혁신의 위험을 부담해야 한다"며 AI와 기후 경제 전환에 대한 구상을 소개했다.
김동연 후보는 경기도지사 자격으로 이날 기억식 발언대에 올라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지 않은 정권, 진실을 가리고 책임을 회피하는 데에만 급급했던 두 정권의 끝은 파면이었다"며 "다시는 이런 참사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 그 길은 '윤석열 이전의 나라'를 넘어 완전히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동연 후보는 기억식 참석 전 여의도 대산빌딩 경선캠프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재명 예비후보를 겨냥해 "기본소득을 오락가락하는 것은 대단히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이 예비후보가 기본소득을 이번 대선 공약 포함시키지 않기로 한 것을 두고 "어떤 정책이든지 일관성과 예측가능성을 갖지 않는 것이 가장 안 좋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1박 2일 일정으로 충북을 찾는 그는 대통령실을 세종으로 이전하겠다고도 밝혔다. 그는 "대통령실의 대폭 슬림화를 통해 현재의 5분의 1 규모인 100명 정도로 가능할 것이다. 수석제를 폐지하고 대신 책임 총리, 책임 장관제로 하면 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