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행 정부로서 '대미 협상' 착수를 천명하는 등 광폭행보로 '사실상의 대권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겸 국무총리를 겨냥,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추대설이 솔솔 나오니 제대로 '난가 병'에 걸렸다", "성급한 관세협상이 아니라 우선 대선 출마에 대한 입장부터 정확하게 밝혀야 한다"는 등 강력 비판을 쏟아냈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표는 15일 오전 국회 원내대책회의에서 "어제 한 총리가 여야의 양해나 국회의장 허가도 없이 대정부질문에 출석하지 않았다"며 "내란수괴 대행을 하느라 그런지 한 총리의 안하무인적 언행마저 윤석열의 모습을 쏙 빼닮았다. 국민의힘에서 추대설이 솔솔 나오니 제대로 난가병(나인가? 하는 병)에 걸려 국회를 아예 무시하기로 한 것인가"라고 했다.
박 원내대표는 "민주당은 어제부터 사흘간 진행되는 대정부질문을 통해 12.3 내란사태의 철저한 진상규명, 윤석열 파면 이후 국가정상화 방안, 민생 추경과 미국발 관세전쟁 대응방안 등을 집중 추궁하고 있다"며 "(이에 불참한 한 대해으이) 헌법·법률을 무시하고 국회도 무시하는 행태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했다.
박 원내대표는 또 50명 이상의 국회의원이 '한 대행 출마 촉구 선언'에 서명하는 등 '한덕수 차출론'에 매진하고 있는 국민의힘을 겨냥해서도 "12.3 내란을 일으킨 윤석열이 여전히 국민의힘의 1호 당원 아닌가"라며 "무슨 염치로 대선 후보를 내려하나"고 비판했다.
앞서 한 대행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 '시급한 현안 처리 및 민생현장 점검'을 사유로 불출석했다. 이에 당일엔 우원식 국회의장이 직접 한 대행을 겨냥 "4월 임시회 대정부질문은 진작부터 예정된 일정임에도 다른 일정 때문에 불출석한다는 것은 가당치 않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진성준 정책위의장도 이날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권한도 책임도 취약한 대행 정부가 막대한 국익이 걸린 관세협상의 전면에 나서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최근 대미 관세협상을 본인의 '마지막 소명'이라고 천명한 한 대행을 겨냥했다.
진 의장은 특히 "미국 정부가 우리나라를 통상 협상의 최우선 대상으로 꼽았다고 한다. 우리의 정치적 불확실성 때문에 협상에서 우위를 점하고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는 것"이라며 "한 대행이 지금 해야할 일은 성급한 관세협상이 아니다. 우선 대선 출마에 대한 입장부터 정확하게 밝혀야 한다"고 지적했다.
진 의장은 "미국 정부의 관세 정책이 하루가 다르게 바뀌는 상황에서 협상에 서둘러야 하는 이유도 크지 않다", "우린 아직 (민감국가) 지정 사유조차도 설명받지 못하고 있다. 우리가 가진 정보 자체가 너무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렇게 협상을 서두르다가 결국 '퍼주기' 협상을 해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까지 제기된다"고 했다.
진 의장은 또 한 대행의 최근 행보를 두고 "한 대행은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적용 90일 유예 조치가 마치 자신과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한 결과인 것처럼 포장했다"며 "대선에 나서려는 정치적 욕심 때문에 아전인수식 언론플레이 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그는 "막대한 국익이 걸린 중대한 통상 협상은 국회와 협의 하에 진행해야 한다"며 "당장 국회의 통상대책특별위원회를 구성할 것을 거듭 힘주어 촉구한다"고 했다.
한편 이날 민주당은 원내대책회의 직후 개최된 국회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한 대행의 이완규·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 철회 촉구 결의안 가결도 주도했다. 해당 결의안엔 한 대행의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임명을 '위헌적 월권행위'로 규정하고, 한 대행에게 이에 대한 대국민 사과와 지명 철회를 촉구하는 내용이 담겼다.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정을 지지하고 있는 국민의힘 측은 이에 반발, 회의에 전원 불참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