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경선룰을 당원 50%·여론조사 50%로 확정하면서 비명계 후보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박용진 전 의원이 "민심의 반영이 좀 부족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 전 의원은 15일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 인터뷰에서 "호랑이가 토끼를 잡을 때도 사력을 다해서 잡는 거라고들 하니까 그럴 수도 있지만, 어쨌든 확장성의 약화를 가져오게 되면 안 된다는 우려의 말씀을 드린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경선을 통해서 역동성이 더 분출되고 컨벤션 효과가 생겨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민주당은 그런 게 없을까 봐 걱정을 계속했는데, 오히려 그런 걸 좀 가미시켜주는 게 좋았을 텐데 그렇게 하지 않고 이렇게 끝나버린 게 너무 아쉽다"고 평가했다.
앞서 민주당은 전날 대선 경선 룰을 권리당원 투표 50%,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 합산 방식으로 확정했다. 해당 경선 룰은 민주당이 지난 19·20대 대선 당시 대의원·당원·비당원 구분 없이 1인 1표제를 도입해 진행한 '국민경선' 룰에서 권리당원을 선거인단으로 한정한 방식으로, 비명계 후보들을 중심으로 '어대명' 경선룰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했다. 김두관 전 의원은 경선룰 발하며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박 전 의원은 "전통적으로 모든 정당 내에서 갈등이 벌어지고 있는 게 당심이냐 민심이냐는 것"이라며 "저는 기준은 분명해야 된다고 본다. 당직을 뽑을 때는 당원들의 당심이 더 많아야 하지만 공직을 뽑을 때는 민심이 더 많이 반영되도록 하는 게 원칙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런 원칙으로 제 시각에서 볼 때 민주당의 이번 경선 룰은 어떤 민심의 반영이 좀 부족한 것"이라며 "첫 번째로는 역동성을 부여하는 경선 룰이 안 만들어진 게 아쉽고, 두 번째로 전통적으로 볼 때 어떤 역선택 방지 조항이라고 하는 게 중도 확장성을 제거하고 본선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방식으로 가게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그게 우리 쪽만 생각하면 그게 무슨 소리야 이러겠지만 아까 제가 말씀드린 것처럼 상대방에서 누가 나올지를 보면 상대도 우리를 그렇게 보겠구나라고 하는 것"이라며 "정치는 역지사지하면 늘 답이 있다"고 말했다.
박 전 의원은 또 '연정'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는 "민주당이 최대 다수 연합을 만들어내야 한다. (탄핵 가결 숫자인) 204라고 하는 숫자를 머릿속에 새기고 다녀야 된다고 생각한다"며 "보수 진영에서도 탄핵에 찬성하고 참여했었던 사람들이 있다고 하는 걸 잊지는 말아야 된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최대한 거기에 동의했던 국민들도 최대한 지지를 받아내기 위해서 노력을 해야 되고 겸손한 자세로 이번 선거를 치르고 가야 선거도 승리하고 압도적으로 이길 수 있고 그리고 정권도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