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14일부터 15일까지 경주 힐튼호텔에서 ‘2024년 위기 대응 3축 결과보고회 및 2025년 과제 발굴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경북형 주요 재난 연구활동모임(K-이슈 재난스터디 그룹)의 일환으로, 경북도와 경북연구원 재난안전연구센터, 경일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진 및 6대 분야 재난 전문가들이 참석해 재난 관리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세미나에서는 재난 발생 전 사전 징후 분석을 기반으로 한 재해별 대응 기준과 점검표를 개발했다. 도는 지역 내 다양한 재난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하고자 경북형 6대 재난 점검표(안)을 발표했으며, 이지수 경일대학교 교수는 호우 예측 체계 강화를 위한 ‘경북형 호우시스템 및 재난 달력 개발’을 통해 시민 안전 확보 방안을 제시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지난해 말 개최된 재난 관련 창의적 종합 설계 경진대회에서 대학생들이 개발한 창의적 재난 장비 우수작 발표가 진행됐다. 또한 김경준 포항공대 교수, 이지수 경일대학교 교수 등 재난 분야 전문가들이 연구 성과를 발표하며, 기후 변화에 따른 예측 불가능한 재난에 대비한 기술적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경북도는 지난해부터 관 주도의 재난 대응에서 벗어나 도 위기관리 대응센터, 경일대, 경북연구원 재난안전연구센터가 협력하는 ‘3축 위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기반으로 산불, 산사태, 풍수해, 대설·한파, 지진, 불볕더위 등 6대 재난을 연구하는 전문가 모임(K-이슈 재난스터디 그룹)을 운영하며, 재난 예방과 대응 체계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박성수 경북도 안전행정실장은 “이번 행사가 경북도의 재난 대응 체계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와 협력을 통해 재난 예방과 대응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