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지도부가 윤석열 대통령 석방 이후 그와의 거리두기 대신 최대한 밀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지난 9일 윤 대통령과 당 지도부 간의 면담에서 윤 대통령이 "오로지 국민과 나라만 생각하겠다"고 말했다고 당 의원총회에서 전하며 "아주 의연한 모습을 보여주셨다", "대통령은 직무정지된 상태다. 가슴이 아프다"고 하기도 했다.
권 원내대표는 11일 오전 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그저께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함께 한남동 관저에 대통령님을 찾아뵀다. 다행히 건강해보였다"며 "(윤 대통령은) '나는 괜찮다. 오로지 국민과 나라만 생각하겠다'고 하면서 아주 의연한 모습을 보여주셨다. 우리 당과 의원님들에 대해 미안함과 고마움의 뜻도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신동욱 당 수석대변인은 전날 브리핑에서 이 회동과 관련 "건강 문제나 대통령께서 수감생활을 하면서 느낀 여러 소회 말씀이 있었다", "'당을 잘 운영해줘서 고맙다'는 감사 인사가 있었다"고만 발표했다. 이 상황에서 '오로지 국민과 나라만 생각하겠다'고 했다는 윤 대통령 육성이 당 지도부를 통해 의원단에 공개적으로 전해진 것은 눈길을 끈다.
권 원내대표는 또 "어제 3월 10일은 윤 대통령 당선 3주년"이라고도 했다. 그는 "여기 계신 많은 의원들께서 우리 당원 동지들과 함께 윤석열 정부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주셨다"며 "3년이 지난 지금 우리 대통령은 직무정지된 상태다. 가슴이 아프다"고 했다.
권 원내대표는 특히 "저도 이 자리를 빌려 원대대표로서 그 동안 의원님 여러분께서 각자 소신에 따라 장내와 장외, 상임위와 지역을 누비면서 당과 나라를 위해 제 역할을 해주신 데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한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그간 국민의힘에선 영남·친윤 의원들을 중심으로 '부정선거론' 등을 주장하는 극우성향 강성지지층 집회에 참여해왔는데, 지도부는 '의원 개인의 소신'이라며 그에 대한 평가를 피하고 지도부 차원의 집회 참여엔 선을 그어왔다.
특히 이날 의원총회는 윤상현 의원 등 당내 강성 의원들이 '당 차원의 탄핵반대 집회 참여'를 요구하면서 개최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중도층을 의식해 장외집회와는 최소한의 거리두기를 보여온 지도부의 입장이 윤 대통령 석방을 계기로 달라질 것인지 관심이 모이기도 했다.
권 원내대표는 의총 모두발언에서 이와 관련 "그 동안 지도부가 다소 부족한 면이 있더라도 당의 화합과 통합을 위해 인내와 절제를 보여주신 데 대해서도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의총 결과브리핑에서 "지도부는 지금과 같은 기조를 유지하기로 결론내렸다"며 "당은 각종 회의를 통해 입장을 밝히고, 민주당처럼 장외투쟁이나 단식을 통해 헌재를 압박하는 행동은 하지 않기로 했다"고 선을 그었다.
당내에서 '친윤' 행보에 가장 앞장서고 있는 윤상현 의원은 이날 '국회 해산'까지 언급해가며 '탄핵 기각 총력전'에 나서야 한다고 당에 요구한 것으로 확인됐다. 윤 의원은 이날 의총 도중 기자들과 만나 "지금은 대통령의 시간이다. 조기 대선 운운하면서 대통령의 시간을 뺏는 것은 당이나 대통령이나 국가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며 "우린 탄핵 인용을 막고 탄핵 기각·각하를 위해 총력전을 전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이날 의총에서 "우린 헌재 앞으로 달려갈 수밖에 없다", "국민들이 싸우고 있는데 의원들이 가만히 봐선 안 된다. 우리가 헌재 앞에 나가야 한다"고 거듭 촉구하며, 이 과정에서 "민주당의 업법독재에 항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국회 해체뿐", "국회 해산만이 답이다. 적어도 이 시점에선 우리가 국회의원 총사퇴까지 결의하자"는 발언을 내놓기도 했다.
'국회 해산' 주장의 경우, 특히 12.3 비상계엄 사태 당시 윤 대통령이 이를 불법적으로 시도했다는 의혹이 탄핵심판은 물론 내란죄 재판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이기도 해 눈길을 끌었다. 윤 의원은 다만 '대통령에게 국회 해산권을 줘야 한다는 건가' 묻는 질문엔 "그건 헌법 개정 시에 앞으로 차차 해결해 나갈 문제"라며 "지금은 총사퇴를 결의 하고 같이 싸우자는 것"이라고 답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