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새학기 도입을 앞둔 전국 시도교육청의 'AI디지털교과서 선정 비율이 크게 낮은 것으로 파악된 가운데 조국혁신당 강경숙 의원은 "섣부른 도입이 준비 부족과 혼란만 초래한 결과"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의원은 20일 이같이 지적하면서 "대구를 비롯한 40%대 6개 지역을 뺀 11곳의 평균 선정비율은 18.09%로 교육정책 수립 시, 현장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으면 심각한 상황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교육부가 올 1학기 부터 도입하는 AI디지털교과서(AIDT)의 학교 별 신청률은 32.4%였다.
선정비율이 높은 순으로 보면, △대구 100% △강원49% △충북 45% △경북 45% △경기44% △제주 41%로 40%대를 이루었고, △부산 35% △충남 25% △서울 24% △전북 21% △인천 20% △대전 20% △울산 15% △광주 12% △전남 9% △세종 8%로 나타났다.
강 의원은 "40%대 지역을 뺀 11곳의 평균 선정비율은 18.09%로 교육현장의 반응이 어떠한지 여실히 드러났다"고 비판했다.
강 의원은 "AI디지털교과서는 尹정부의 국정과제이면서 이주호 교육부장관이 ‘세계 최초’라고 사활을 걸었던 사업인데, 그 결과가 30%대 수준에 그쳤다"면서 "11곳 지역에서 18.09%라는 결과가 나온 점도 뼈아픈 대목"이라고 짚었다.
'지역별 격차'에 대한 해결은 물론 '미선정교에 대한 역차별'이라는 또 다른 문제도 확인되면서 교육부의 과제가 하나 더 늘어난 상태가 됐다는 지적이다.
강 의원은 특히 "놀라운 결과 중 하나인 100%를 보인 대구교육청의 경우 현장 중심의 소통이 있었는지 크게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꼬집었다.
또한 '딥시크의 충격'과 '오픈AI의 대중화 선언'이 급격하게 이뤄지는 세계적 상황에서 문제풀이식 AI 코스웨어라는 낮은 수준의 AI디지털교과서의 'AI효과성'에 대한 의문도 점점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덧붙여 교육부가 ‘맞춤형 개별화 교육’과 ‘학습격차 해소’를 목표로 한 교육효과성에 대한 의문도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더구나 3월 개학이 코 앞인 상황에서 AI디지털교과서 시범운영이 ‘2월 3일~21일’에서 ‘17일~28일’로 미뤄져 시범운영 기간 드러난 문제에 대한 확인도 없이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교육현장의 혼란은 더 커질 전망이다.
또한 오석환 교육부차관이 발행사와의 비공식회의에서 ‘2026년 교과서 지위’에 대한 확답을 주지 않으면서 업계에도 더 큰 혼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강경숙 의원은 "교육정책 수립 시, 현장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으면 심각한 상황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지적하면서 "교육부는 학교에서 채택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도입은 물론 전후 과정에 대한 성찰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하고 "심각한 지역편차에 대한 통합의 과제도 해결해야 하고, 미선정 학교에 대한 지원책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