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청도군이 2025년 행정안전부 지방소멸대응기금 투자계획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우수’를 받아, 역대 최대 규모인 160억 원의 기금을 확보했다.
또한, 경상북도의 광역기금 지원을 포함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총 472억 3,800만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확보했다. 이는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해 청도군이 심혈을 기울여 전략적인 계획을 수립한 결과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청도군은 2025년 군정 3대 목표로 △ 8000억 예산 시대 개막 △ 40만 생활인구 달성 △ 더 풍요롭고 잘사는 청도 건설을 제시하며 군정을 추진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발표에 따르면, 청도군의 생활인구는 주민등록 인구의 7.8배를 초과하는 34만 명으로, 경상북도 내 1위, 전국 7위를 기록하며 청도의 높은 발전 가능성을 입증했다.
2026년부터 지자체에 배부하는 보통교부세 산정 기준에 생활인구 반영이 입법 예고됨에 따라, 청도군도 이에 맞춰 정주 및 체류 인구를 포함한 생활인구 확대 정책을 발 빠르게 추진하고 있다.
청도군은 중심 생활권에 주거, 문화, 일자리 등 생활 인프라와 복지 서비스를 결합한 복합 생활 거점 조성 및 대중교통 개선사업을 연결한 ‘모이다, 콤팩트시티 청도’ 사업에 112억 7000만 원의 기금을 투입해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을 계획이다.
또한, 관계인구 확대 정책으로 외국인 근로자의 장기 체류 및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 △ 농업인력 숙소 건립사업 ‘글로벌 드림스테이’ △ 외국인 생활인구 유입 및 우수 외국인 인재 정착을 위한 ‘외국인 지역사회 교류·정착 프로그램’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지역 내 인구 유출을 방지하고, 외부 인구 유입을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빈집을 리모델링해 월 임대료 1만 원의 주택을 공급하는 ‘청도 만(萬)원주택사업’에도 5억 원의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투입해 정주 인구 확보를 위한 혁신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김하수 청도군수는 “청도군은 지방소멸대응기금 사업을 통해 ‘생활인구의 관계인구화, 관계인구의 정주인구화’라는 목표를 설정했다”며 “생활인구 40만 명을 달성하는 것은 물론, 이들이 청도에 관심을 갖고 관계를 맺도록 유도해 ‘지방소멸 위기 지역 청도’를 ‘미래 성장 도시 청도’로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