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기장군과 강서구가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서 첨단제조업 발전의 기반이 마련된다.
부산시는 전력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부품 관련 기업들의 투자계획이 제시된 기장군·강서구 총 57만5000평이 기회발전특구로 최종 지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번에 지정된 기회발전특구는 동남권방사선의과학단지, 동부산 이파크(E-Park),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미음지구로, 모빌리티 소부장 분야인 이차전지, 전력반도체, 자동차 부품 분야다.
기장군은 ’동남권방사선의과학산단 16만평, 동부산 이파크(E-PARK) 일반산업단지 31만2000평이 지정됐다. 기장군은 정관 신도시, 일광신도시가 있어서 정주여건이 뛰어나며 부산-울산 고속도로 및 동해남부선 등 교통이 좋아 기회발전특구의 장기적 성장 측면에서 유리한 환경이다.
기장지구 전력반도체 핵심(앵커)기업이 투자할 ‘동남권 방사선 의과학 산업단지’는 2023년 1단계가 준공돼 파워반도체상용화센터(PSCC), 수출용 신형연구로 등 반도체 관련 국책 사업들이 추진되고 있으며 소부장 전력반도체 특화단지로 지정된 바 있다.
강서구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미음지구 10만3000평이 특구로 지정돼 친환경 모빌리티 부품 기술 개발 및 이차전지 산업 기반 시설(인프라)을 확충할 계획이다.
특구 내 투자기업은 19개 사로 투자 규모는 2조3566억 원이며 고용 창출은 2286명으로 추정된다. 주요 핵심기업으로는 금양(이차전지), 아이큐랩(8인치 SiC), 비투지(전력반도체), 신성에스티(ST)(이차전지 배터리부품)가 있다.
시는 기회발전특구를 중심으로 '도심융합특구'와 '문화특구', '교육자유특구' 등 4대 특구 간 연계를 강화해 글로벌허브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할 방침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두 번째 기회발전특구 지정으로 수도권의 경쟁력 있는 기업이 부산으로 본사를 이전하고 부산에 공장을 추가로 증축함으로써 많은 일자리가 생기고 특구 주변 정주환경도 더욱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향후 더욱 많은 우수기업이 부산으로 몰려들고 또 부산에서 커나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