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평의 대(大)파노라마가 펼쳐질 새만금 내부개발과 관련해 조기개발이 가능한 지역은 우선 매립하는 방안이 적극 검토된다. 또 수요 맞춤형 개발에 적극 나서는 한편 유보용지 개발도 새롭게 도입된다.
새만금개발청(청장 김경안)은 30일 '새만금 기본계획 재수립 학술용역'의 본격 착수에 앞서 용역 수행자인 국토연구원과 기본 방향 및 주요 과제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
새만금개발청은 작년 10월부터 약 5개월간 새만금 발전을 위한 추진 과제를 도출하고 향후 재수립을 위한 6대 과제를 정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새만금청이 제시한 6대 과제를 보면 현재 9.9%에 불과한 산업 용지를 대폭 확대하는 등 기업 중심으로 토지 이용계획을 재수립하고 전력과 용수 등 기반 시설 확대 방안을 재검토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조기 개발이 가능한 지역은 우선 매립을 검토하고 개발사업 불확실성 개선을 위해 상·하수도 등 광역 기반 시설을 선제적으로 확충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조기개발이 가능한 지역에 한해 우선 매립을 검토하겠다는 방침은 이날 처음 제시한 것으로 향후 2050년 완공 목표를 최대한 앞당길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의지를 갖고 조기개발에 나서야 할 것이라는 여론이다.
새만금청은 또 용지 특성을 고려해 '첨단전략산업, 글로벌 식품, 관광·MICE(마이스) 산업'의 3대 허브를 구체화하여 새만금 권역 체계를 변경하고 변화된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개발 전략도 마련한다.
아울러 사업시행자의 개발 수요와 사업성을 고려하여 수요 맞춤형 단계별 개발 순서를 현실화하고 유보 용지 개념도 새롭게 도입한다는 구상이다.
이밖에 정부의 무탄소에너지 100%(CF100) 정책에 발맞춰 '새만금 입주기업 CF100 달성'을 지원하기 위한 에너지 생산·공급계획을 재검토하며 새만금 전체 지역의 체계적인 개발을 유도하기 위해 새만금의 계획 및 총괄 기능을 효율화하기로 했다.
새만금청은 이번 학술용역을 통해 새만금개발청은 기본계획 재수립 기본 방향 6대 과제를 면밀히 검토하고 구상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대국민 설문조사와 전문가 자문회의, 지자체 및 관계기관 수시 협의 등 다각적인 소통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쳐 기본계획을 재수립해 나갈 예정이다.
학술용역은 국토연구원이 5월 초 계약 예정인 기술용역과 연계하여 2025년까지 새만금 기본계획 재수립 전반을 총괄해 추진한다.
국토연구원은 대한민국 국토 개발에 가장 전문성이 높은 국책 연구기관으로서 국토종합계획, 산업입지 계획 등 정부의 굵직한 개발 정책 결정에 기여해온 전문적 역량을 갖춘 기관이라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이번 기본계획 재수립은 새만금 사업 총 면적 409㎢의 광범위한 새만금 개발구상을 큰 틀에서 '기업 중심'으로 담아내어 새만금이 대한민국과 전북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도록 하는 것이 핵심 목표이다.
김경안 새만금개발청장은 "국토의 이용과 개발을 책임지고 있는 국토연구원의 전문성과 새만금청의 역량, 새만금 사업의 성공을 바라는 국민 모두의 염원을 모두 결집하여 이번 기본계획 재수립에 총력을 다하겠다"며 "새만금 3대 허브를 구체화하여 새만금을 기업 친화적인 공간으로 개편함은 물론 우리나라의 미래 백년대계를 책임질 수 있는 구상을 이번 기회에 제대로 그려낼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