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군사정찰위성 발사 준비가 마무리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 발사 시기를 두고 여러 예측이 나오는 가운데 7월 말 이후가 유력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7일 북한 관영매체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16일 "비상설 위성발사 준비위원회 사업을 현지에서 지도했다"며 "사업정형을 구체적으로 료해하시고 총조립 상태 점검과 우주환경시험을 최종적으로 마치고 탑재준비가 완료된 군사정찰위성 1호기를 돌아보시였다"고 보도했다.
군사 정찰 위성은 북한이 지난 2021년 8차 당 대회 때 제시했던 군사 관련 과업 중 하나다. 당시 북한은 고체형 ICBM, 핵잠수함,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SLBM), 무인정찰기와 함께 군 정찰위성을 언급한 바 있다.
김 위원장은 "군사정찰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는 것은 조성된 국가의 안전환경으로부터 출발한 절박한 요구이며 우리 당과 공화국정부의 최우선적인 국방력강화정책의 정확한 실천과정인 동시에 나라의 우주군사 및 과학기술개발에서 뚜렷한 진일보로 된다"며 우주연구분야에서의 전략적 목표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했다고 통신은 전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미제와 남조선(남한) 괴뢰악당들의 반공화국대결책동이 발악적으로 가증될수록 이를 철저히 억제하고 국가를 수호하기 위한 우리의 주권과 정당방위권은 더욱 당당히, 더욱 공세적으로 행사될 것"이라며 군사 정찰 위성 보유 배경을 밝혔다.
김 위원장이 위원회에 "차후 행동계획을 승인"하면서 발사 시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운반로켓이 얼마나 준비되었는지에 따라 6월도 가능한 상황"이라며 "최종적으로 위성조립을 마쳤다는 것은 이미 운반용 발사로켓도 준비된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발사체의 제작이 완료되고 이후 단 결합 단계라면 빠르면 앞으로 3주 정도면 발사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도 내놨다.
다만 그는 북한이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를 비롯해 대외적인 상황에 맞춰 위성을 발사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위성 발사는 이미 8차 당 대회 때 제시한 목표였고 위성 발사가 주권을 가진 국가의 고유한 권리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는 측면에 비춰봤을 때 내부 준비를 더 우선시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정당한 위성발사라는 점과 향후 지속적인 우주개발을 위해서라도 국제해사기구(IMO)와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등 관련 국제 기구에 위성 발사 계획을 통보하는 절차를 통해 국제 규범을 준수하는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기술적으로나 여건, 환경적으로 가장 완벽하게 준비를 마치고 성공에 확신이 있을 때 발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6월 말 ~ 7월 중순까지 장마라서 기상을 고려하면 (발사 시기는) 7월 27일 전승절 70주년에서 8월 한미연합훈련까지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현지지도에는 김 위원장의 딸인 김주애(이름 추정)가 동행했다. 김주애는 지난 4월 18일 김 위원장이 위성 발사와 관련해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했을 때도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