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우울 증상 유병률이 소득 수준과 비례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전국 17개 시·도 2000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 등의 조사(조사기간 2021년 3월)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았다' 보고서를 23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우울증상 유병률은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인 소득 최하위 계층(32.8%)과 월평균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인 최상위 계층(13.4%)의 격차가 2.4배로 나타났다. 불안장애의 경우는 각각 46.5%와 27.9%로 그 격차가 18.6%P로 조사됐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극단적 선택 생각'을 한 비율도 최하위 계층이 24.1%로, 최상위 계층(6.74%) 대비 약 3.6배 많았다.
가구 구성원별로는 1인 가구가 상대적으로 '위험' 상태를 보였다. 우울 증상 유병률이 1인 가구가 21.6%로, 2인 이상 가구(17.2%)와 4.4%P의 차이를 나타냈다.
특히 남성의 경우 2인 이상 가구일 때 14.5%인데 비해 1인 가구는 22.9%로 증가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극단적 선택 생각'을 한 비율은 1인 가구가 13.5%로 분석돼 2인 이상 가구(7.7%)와의 격차는 1.8배였다.
'확진자' 낙인 인식도 심리적 고통을 가중시켰다. 우리 사회가 확진자에 대한 낙인 인식이 ‘없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우울 증상 유병률은 8.9%인데 반해, ‘다소 있다’라고 응답한 집단은 17.5%, ‘매우 심함’으로 응답한 집단은 39.1%로 증가(4.4배)했다.
불안장애의 경우 낙인 인식이 '없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유병률은 18.7%인데, '다소 있다'라고 응답한 집단의 유병률은 32.7%, ‘매우 심함’으로 응답한 집단은 56.3%로 분석됐다.
연구원은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으로 인한 정신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우선적 중재 프로그램’의 마련 △정신건강 인프라에 대한 취약계층들의 물리적, 심리적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찾아가는 심리지원 서비스’의 제공 △팬데믹에 대한 부정적 편견과 낙인 인식을 해소하는 정책 등을 제시했다.
경기연 이은환 연구위원은 “향후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 국민 정신건강 위험이 전염병처럼 확산하는 멘탈데믹(mentaldemic)에 대비해야 한다”라면서 “신종 감염병에 대한 불필요한 편견과 공포의 확산을 방지하고, 우리 사회의 약자들과 취약계층들의 형편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