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을 맞은 21일, 한국 국민 두 명 중 한 명은 한국사회 내의 '이주민 혐오·차별 경향'을 인식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국가인권위원회가 이날 오전 발표한 '2022년 인권의식실태조사'에 따르면 '우리사회가 이주민에게 혐오 또는 차별적 태도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는 응답이 54.1%에 달했다. 국민 두 명 중 한 명은 이주민 혐오·차별을 인식하거나 우려하고 있는 셈이다.
반면 한국사회에서 '이주민의 인권이 존중되고 있다'는 응답은 36.2%로 전년 대비 1.3% 하락했다. 이는 장애인, 노인, 아동 등 다른 사회적 약자 계층 인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비교했을 때 다소 낮은 수치다.
같은 조사에서 '장애인 인권이 존중되고 있다'는 응답은 50.4%, '노인 인권이 존중되고 있다'는 응답은 71.0%, '아동·청소년 인권이 존중되고 있다'는 응답은 81.0%로 집계됐다. 여러 사회적 약자 집단 중에서도 이주민 집단의 '취약성'이 사회적으로 더 잘 인식되고 있는 셈이다.
조사에선 이주민에 대한 국민들의 실제 인식이 어떤지 엿보이기도 했다.
'이주민을 우리 사회의 구성원으로 받아들이고 있다고 생각하는가' 묻는 질문에 대해선 응답자들의 66.2%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이주민이 본인의 이웃이 되는 일(71.9%)이나 본인의 친척과 결혼하는 일(58.8%)에 대해 '좋다'고 응답하는 응답자들도 전체 응답자의 절반을 넘었다.
그러나 범위를 이주민에서 이주노동자로 좁힌 채 '내가 거주하는 지역에서 (이주노동자가) 국회의원이나 자치단체장이 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묻자 전체 응답자의 58.0%가 '불편하다'고 답했다. 같은 질문에서 결혼이주민의 경우 45.5% 응답자가 '불편하다'고 답했다.
'난민은 받아들여야 한다'는 응답의 경우 46.6%로, 지난 2021년(38.7%)과 2020년(33.1%)에 비해선 증가했지만 여전히 과반을 넘지 못했다.
인권위는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을 맞아 지난해 7월부터 9월까지 만 18세 이상 국민 1만 6148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해당 조사 내 이주민 관련 통계를 카드뉴스 형식으로 만들어 공개했다. 자세한 사항은 국가인권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인권위는 "다른 나라에서 삶을 이어가는 것이 보편화되는 지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민이 우리 사회 구성원이 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라며 "그들의 '다름'을 차별과 혐오의 대상이 아니라 우리 사회를 풍요롭게 할 자산으로 받아들이는 성숙한 태도가 요구된다"고 밝혔다.
2022년 12월 기준 국내 체류 외국인은 약 225만 명으로 집계된다. 같은 해 10월 행정안전부가 발표한 '2021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에 따르면 외국인주민이 1만 명 이상 또는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시·군·구는 전국 228곳 중 총 86곳으로 40%에 육박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