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학교급식에 공급되는 농산물의 생산체계 개선이 필요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2일 경기도농업기술원에 따르면 도 농기원은 농림축산식품부의 농업경영체등록정보 10만건과 도내 학교급식정보 35만 건을 가공해 법정리별 생산수준을 각각 1~3등급으로 구분한 지도를 제작, 품목별·지역별 생산 집중여부를 분석했다.
이번 조사는 도민 먹거리 취약성 개선 일환으로 우선적으로 학교급식 부족 품목에 대한 생산지역 파악을 통해 '먹거리 보장'이라는 경기도 먹거리 전략의 정책실현을 위해 이뤄졌다.
분석 결과 전체 607개 작목 중 생산과 수요가 가장 안정적인 품목은 '벼'로, 생산과 수요 모두 상위 10%로 균형을 이루고 있었다. 벼는 전체 재배면적의 절반(50.8%)에 이르는 6만9905ha에서 재배되고 있었다.
이어 △콩 7702ha(5.6%) △들깨 6220ha(4.5%) △건고추 4956ha(3.6%) △고구마 3161ha(2.3%) 등의 순이었다. 총 607개 작목 중 상위 10개 작목이 전체 재배면적의 73.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취급하는 전체 206개 품목(2만1975톤) 중 관내 농산물 소비량은 전체 물량의 71.3%, 관외 농산물은 28.7%로 각각 조사됐다.
이 가운데 관외 취급비율이 높은 △당근 △감자 △무 △양배추 △양파 △마늘 △대파 △사과 △포도 △멜론 등 10개 재배품목이 학교급식 취급량의 29.6%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들 각 품목은 높은 급식수요를 생산이 따라잡지 못하고 있어 생산을 늘리거나 유통경로를 변경해 생산지속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됐다.
도는 이번에 제작된 농산물 생산지도를 경기도먹거리위원회와 도의회, 농정부서 등을 통해 널리 알림으로써 생산체계를 개선하는 데 활용되도록 할 계획이다.
김석철 경기도농업기술원장은 “이번 농산물 생산지도를 통해 도출된 학교급식 부족품목을 바탕으로 먹거리 다양성 증진 방안을 면밀히 검토해 경기도 농산물 생산체계 개선에 접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 농산물 생산지역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경기도 농산물 생산지도'는 경기부동산포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