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인해 발생한 우리 교육의 가장 큰 문제로 전국 유‧초‧중‧고‧대학 교원의 절반은 ‘교육 격차’와 ‘학력 저하’를 꼽았다.
또한 대다수 교원들은 코로나 이전보다 교육활동이 더 어려워지고 스트레스도 증가했다고 토로했다. 아울러 포스트 코로나 교육을 위한 최우선 과제는 ‘학급당 학생수 감축’이라고 응답했다.
이 같은 결과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회장 하윤수‧전 부산교대 총장)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5일까지 전국 유‧초‧중‧고‧대학 교원 799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제40회 스승의 날 기념 교원 인식 설문조사’에서 나타났다.
교총은 11일, "이번 설문조사는 코로나19로 격변한 학교 현장의 교육 실태, 고충과 과제를 주요하게 물었다."고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우리 공교육이 봉착한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학생 간 교우관계 형성 및 사회성‧공동체 인식 저하’(35.1%)가 꼽혔다.
교원들은 이어 ‘취약계층 학습 결손 및 교육격차 심화’(27.7%), ‘학력 저하 및 기초학력 미달 증가’라고 응답했다.
특히 코로나19로 교원들은 무엇보다 원격수업, 방역 부담을 가장 큰 고충으로 토로했다. 코로나19로 겪는 가장 큰 어려움과 스트레스는 ‘원격수업 시행 학습격차 해소 노력’(20.9%)과 ‘감염병 예방 및 교내 방역 업무 가중’(19.0%)을 들었다.
코로나19 이전보다 교육활동에 어려움, 스트레스를 느낀다는 교원은 85.8%에 달했다.
코로나19 이후 공교육이 경쟁력을 갖추고 본연의 역할을 하기 위해 가장 우선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로는 ‘학급당 학생수 감축 등 교육여건 개선’(46.1%)을 압도적으로 꼽았다.
이어 ‘대입제도 개편 등 대학 진학 위주 교육제도 개편’(21.1%), ‘교원 전문성 강화, 교육과정 자율화’(10.9%),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 등 교육자치 개선’(8.5%)을 주요하게 응답했다.
교원들의 교직생활을 물은 결과, 교권 추락과 사기 저하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들의 사기는 최근 1~2년간 어떻게 변화됐나’에 대해 78.0%가 ‘떨어졌다’(대체로 떨어졌다 42.5%, 매우 떨어졌다 35.5%)고 응답했다. 2009년 같은 문항으로 처음 실시한 설문에서 ‘떨어졌다’고 답한 비율(55.3%)보다 10년 새 22%p 이상 증가한 결과다.
교권 보호에 대해서도 부정적 의견이 높았다. ‘학교 현장에서 선생님의 교권은 잘 보호되고 있느냐’는 질문에 ‘그렇지 않다’는 답변이 50.6%(별로 그렇지 않다 34.7%, 전혀 그렇지 않다 15.9%)에 달했다. 교권 보호가 잘 되고 있다는 대답은 18.9%(대체로 그렇다 17.2%, 매우 그렇다 1.7%)에 그쳤다.
교권 하락과 사기 저하는 교육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쳐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교원들은 교권 하락과 사기 저하로 인한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학생 생활지도 기피, 관심 저하’(34.3%)를 가장 많이 지적했다.
이어 ‘학교 발전 저해, 교육 불신 심화’(20.8%), ‘헌신, 협력하는 교직문화 약화’(19.8%), ‘수업에 대한 열정 감소로 교육력 저하’(16.1%)를 지적했다.
교육주간을 맞아 스승의 길을 다시 생각할 때, 가장 되고 싶은 교사상(복수응답)은 ‘학생을 믿어주고 잘 소통하는 선생님’이 1순위로 꼽혔다. 3년 연속 같은 결과다.
이어 ‘학생을 진정 사랑하는 선생님’, ‘학생의 강점을 찾아내 진로지도 하는 선생님’, ‘전문성 향상에 부단히 노력하는 선생님’ 등의 순이었다.
이번 설문 결과에 대해 하윤수 회장은 "교원 절반이 코로나19 이후 교육격차와 학력 저하를 가장 큰 문제로 우려하고 있다"며 "국가 차원의 학력 진단‧지원체계 구축과 기초학력보장법 제정 등 근본대책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정규교원 확충으로 학급당 학생수를 감축하고 교원 행정업무를 줄여 교육에 전념하도록 국가적 책무부터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