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명돈 국립중앙의료원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장이 전 국민 70%가 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해도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퇴치할 수는 없으며, 주기적으로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고 밝혔다.
여러 의료 전문가들의 의견을 재확인하는 발언이었으나, 정부가 공언한 '전 국민 70% 백신 접종 시 집단 면역 달성'은 의학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어서 향후 백신 전략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관심이 쏠린다.
3일 오 위원장은 국립중앙의료원 미 공병단 신축 부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백신 접종률이 70%에 이른다 해도 집단 면역을 달성할 수는 없다"며 현존하는 백신으로는 근본적으로 집단 면역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오 위원장은 '집단 면역'의 정의로 '백신 접종이 완료될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 위험이 완전히 사라지는 상황'을 제시했다. 이는 의학적으로 맞지 않는 일이지만, 코로나19 사태 이후 아직 언론과 국민 다수가 '집단 면역'을 이 같은 상황으로 가정하는 것 같다고 오 위원장은 언급했다.
즉, 애초에 백신 접종으로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완전히 사라지는 상황'은 있을 수 없다는 설명이다.
오 위원장에 따르면, 인구 구조 상 코로나19 백신을 성인 90%에 접종한다면 전체 인구의 76.5%가 백신을 맞게 된다. 만일 이 백신의 감염 예방효과가 95%에 달할 경우 인구의 75%는 코로나19 면역력을 획득한다.
이 경우 백신 접종자가 설사 코로나19에 감염되더라도 그 중 95%는 다른 이에게 바이러스를 전파하지는 않게 된다.
그러나 감염 예방효과가 95%에 달하는 백신은 없다. 따라서 실질적인 감염 예방효과는 예상보다 더 떨어질 수밖에 없다. 언론이 주로 언급하는 '화이자 백신 효과 95%'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효과 63%'라는 수치는 피 접종자의 감염 후 발병을 예방하는 효과이지, 바이러스 전파 효과가 아니다.
이와 관련해 오 위원장은 "영국의 2차 감염 예방효과 연구 결과를 보면, 백신 1회 접종 후 가족 간 전파를 막을 예방 효과는 대략 40~50%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이 같은 의견은 새로운 게 아닌 만큼, 지나치게 확대 해석하는 건 위험하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앞선 <프레시안> 기고에서 "집단 면역 수준에 도달함은 '더는 확진자가 늘어나지 않음'을 의미하지, 감염병이 갑자기 줄어든다는 뜻은 아니"라며 예방 효과가 90%에 달하는 백신을 전 국민 90%가 접종해야 집단 면역 수준이 80%대까지 올라간다고 강조하고, "결국 접종 가능한 모든 인구가 접종을 해야 집단 면역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 바로 가기 : 70%로는 안 된다...전 국민 백신 접종해야 집단면역 형성 가능)
오 위원장은 아울러 "만일 집단 면역에 도달하더라도 섣불리 거리두기를 완화한다면 유행은 다시 시작"하고, "어느 한 나라가 집단 면역에 도달하더라도 주변국 상황이 그렇지 못하다면 결국 변이 바이러스가 유입된다"고도 말했다.
오 위원장은 따라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이제 토착화했고, 우리는 코로나19와 더불어 살아가야 한다"며 "바이러스 근절이 목표가 아니라, 중증 환자와 사망 환자 피해를 줄이는 피해 최소화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