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하천 수위와 수문을 실시간 확인하는가하면 상황에 따라 수문 개폐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
한국형 뉴딜 사업 중 하천 분야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사업의 하나인 이 시스템이 앞으로 재해 예방에 기대효과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지난해 섬진강댐 인근 제방이 붕괴되면서 전북지역에서 마을 전체가 물속에 잠기는 피해 등을 입었던 남원시가 스마트 홍수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해 그 관심이 더욱 모아지고 있다.
그러나 전북지역 상당수 지자체에서는 이 사업보다는 옛 시스템 방식을 고집하고 있어 자칫 '소잃고 외양간 고치는 식'의 인재를 반복하는 우를 자처하고 있다는 지적이 흘러나오고 있다.
정부는 내년까지 IOT, 즉 사물인터넷과 센서, 빅데이터등 4차 산업기술을 활용한 국가하천배수시설 자동·원격 제어시스템과 국가하천 모니터링 체제 구축을 추진중이다.
즉, 국토부부터 기초자치단체까지 통합 관리로 통제의 효율성과 피해를 사전에 막는다는 것이다.
이에 국토부는 임배디드 방식의 새로운 시스템 구축을 적용하도록 설계지침까지 하달했다. 그러나 전북 지자체들중 일부를 제외하고는 옛 시스템 방식만을 고집하고 있는 상황이다.
옛 시스템 방식인 PLC 방식은 관리자가 모니터화면을 보고 원격 제어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시스템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임배디드 방식에 비해서는 효율성과 상황대비에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이들 시스템은 내구연한에서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임배디드의 내구연한은 10년에 달하는 반면에 옛 시스템인 PLC는 고작 3년으로 시스템 도입 여부에 따라 예산낭비 폭을 줄여나갈 수 있다.
한편 전북지역에서는 전주 덕진구와 남원시, 완주군 등 일부만 임배디드 방식으로 추진 중에 있고, 전주 덕진과 완주군의 경우에는 국토부가 스마트 관리시스템 구축 선도 사업으로 정해 추진하는 곳이기도 하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