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김해영 "박원순 사건, 당 대처에 부족함 있었다" 공개비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김해영 "박원순 사건, 당 대처에 부족함 있었다" 공개비판

통합, '섹스스캔들' 발언 정원석에 경고·활동정지…여야 모두 자숙모드

여야가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내놓은 문제성 언행에 대해 '자숙 모드'에 들어갔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지도부 회의에서 '우리 당의 대처에 부족함이 있었다'는 공개 지적과 함께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이 부적절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제1야당인 미래통합당에서도 이 사건을 '섹스 스캔들'이라고 표현한 지도부 인사에 대해 사실상의 징계 조치가 내려졌다.

통합당은 17일 "오늘 아침 있었던 비상대책위원회 간담회를 통해,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정원석 비대위원에 대해 경고와 함께 2개월간 '비상대책위원회 활동 정지'를 권고했다"고 밝혔다.

정 비대위원은 전날 비대위 회의에서 "조문의 시간을 지나 이제는 심판의 시간에 이르렀다"며 "박원순 성추행 서울시 섹스 스캔들 은폐 의혹의 진실을 밝힐 때"라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다.

정 비대위원은 회의 석상에서 이같이 발언한 직후 "아까 말씀드린 '섹스 스캔들'을 '성범죄'로 규정하고 싶다. 피해 여성이 관계를 했다는 증언은 없지만, 여전히 서울시 안에서 자행되고 있는 여러 성추문들이 나오고 있다"고 발언을 일부 정정하고, 같은날 오후 "배려가 부족했음을 인정한다"며 "앞으로는 '권력형 성범죄'로 정정하고 용어 선정에 있어서 피해자의 입장을 더욱 반영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했으나 사과 역시 흔쾌하지 못하다는 지적이 추가로 나왔다.

통합당은 정 비대위원이 김 비대위원장으로부터 경고·활동정지 처분을 받고 "자성 차원에서 겸허히 받아들이겠다"는 뜻을 밝혀 왔다고 전했다.

민주당 최고위원회 회의에서는, 이해찬 대표와 김태년 원내대표는 박 시장 사건 관련 언급을 하지 않았으나 '소신파'로 이름난 김해영 최고위원이 당의 대처를 공개 비판해 눈길을 끌었다.

김 최고위원은 "이 사건에 대한 우리 당의 일련의 대처 과정에서 피해자 보호에 부족한 점이 있었다"며 "책임 있는 공당으로, 약자 보호를 주요 가치로 삼는 정당으로서 고인 추모와 피해자 보호라는 두 지점에서 일의 경중을 제대로 살피지 못했다"고 말했다.

김 최고위원은 "'피해자'께 깊은 사과 말씀을 드리고, 당에서는 진상규명을 포함해 피해자 보호를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최고위원은 또 "박 시장 고소 건과 관련해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을 두고 논란이 있다"면서 "저도 사건 초기에 그런 표현을 사용한 바 있지만, 이제는 (고소) 접수 사실만 알려진 상황과 달리 피해자 측이 지원 단체와 법률 대리인을 통해 고소 사실 일부를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 지금부터는 '피해 호소인'이 아닌 '피해자'란 표현을 사용하는 게 적절하다고 생각된다"고 했다.

앞서 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지난 15일 최고위에서 박 시장 사건과 관련해 공개 사과를 했으나, 당시 발언에서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을 사용한 것을 두고 정치권과 시민사회 일각에서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었다.

설훈 최고위원도 이날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이) 2차 가해라는 점에 대해서는 조금 견해를 달리한다"면서도 "제가 볼 때 피해자가 변호인 기자회견을 통해 적시한 내용들을 보면 상당히 구체적이고 시점도 정확하게 적시되어 있으며 일부 증거도 제시했다. 때문에 이런 경우에는 '피해자'라고 표현하는 것이 적절하겠다"고 말했다.

설 최고위원은 "법조계도 공소장 등에서 '피해자'라고 표현을 하고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을 안 쓴다. 그래서 피해자라고 표현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부연했다. 다만 설 최고위원은 "'피해 호소인'과 '피해자'라는 표현이 소위 피해를 입었던 분들 측에서도 혼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며 "그래서 그것을 두고 '2차 가해다'라고 하는 것은 조금 지나치다"는 주장도 했다.

그는 이같은 주장에 대해 "피해 호소인이라는 단어는 예전에도 써왔다. 이를테면 서울대 교수 제자 성추행 사건 때도 (피해자 측을 지지하는 대책위의) 기자회견에서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을 썼고, <여성신문>에서도 2017년에 '성폭력 피해 호소 여성'이라는 표현을 쓴 바가 있다"는 근거를 들며 "피해자냐 피해 호소인이냐 하는 것을 가지고 '사실을 숨기기 위한 표현'이라고까지 생각하는 것은 과하다"고 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곽재훈

프레시안 정치팀 기자입니다. 국제·외교안보분야를 거쳤습니다. 민주주의, 페미니즘, 평화만들기가 관심사입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