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장수 가야 봉수시설 시굴조사서 귀중 자료 발견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장수 가야 봉수시설 시굴조사서 귀중 자료 발견

계남면 침곡리 산 20번지 일원에서 '반파국' 단초 확인

전북 장수군 계남면 침곡리 산 20번지 (해발 617m)일원에서 삼국시대 봉수망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시굴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출입시설, 출토유물, 봉수시설, 발화시설, 집수시설) ⓒ장수군

삼국시대 봉수망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전북 장수군 계남면 침곡리 산 20번지(해발 617m)일원에서 시굴조사를 통해 확인됐다.

7일 장수군에 따르면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재)조선문화유산연구원에서 지난해부터 침곡리 산 20번지 일원으로 추정되는 '장수 침곡리 봉수'의 명확한 위치와 범위, 성격 등을 파악하기 위해 시굴조사를 진행했다.

시굴조사 결과 천천면 춘송리와 계남면 침곡리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침령제 북쪽에 위치한 해발 617m의 산 정상부에서 봉수시설 1기와 집수시설 1기, 정상부를 감싸는 석축시설 등을 확인했다.

산의 정상부는 '사람 인(人)'자 모양으로 세 갈래로 나뉜 듯 형성돼 있는데, 봉수시설은 세 갈래 길이 만나는 지점에서, 집수시설은 서북편의 갈림길에서 확인됐다.

봉수(봉화)시설은 산의 가장 높은 곳에서 확인됐으며 정상부 암반을 일부 다듬은 후 동남편과 서북편, 남편의 암반을 깎아 출입시설을 만들고, 중앙부 암반을 파내어 발화시설을 만든 것을 이번 조사를 통해 확인했다.

발화시설 주변의 암반은 불을 맞은 흔적이 곳곳에서 확인됐으며 토층에서 소토(불먹은 흙)도 일부 확인됐다.

집수시설은 물이 나오지 않는 곳에서 식수와 생활용수를 확보하기 위해 만든 일종의 물저장용 구덩이를 말하며, 이번 조사에서 봉수시설의 서북편 평탄지에서 확인됐다.

방형(혹은 말각방형)의 형태를 띠고 남동쪽과 북서쪽 벽면에서 석렬이 돌아가고 있음이 지표상에서 나타났다.

탐색트렌치를 설치해 토층조사를 진행한 결과, 160cm 아래에서 암회색 점질토가 평탄하게 조성돼 있는 것으로 보아 점토를 이용해 바닥과 벽체를 시설한 집수정시설로 추정된다.

석축은 정상부 능선을 따라 조성됐으며 현재 일부만 남아있고 대부분 유실돼 정확한 형태를 찾아보기 힘든 상태이다.

잔존상태가 양호한 석축은 정상부 남편 경사면에서 확인되며, 경사를 이용해 하단부부터 석축을 쌓고 상단부에 계단식으로 들여쌓았다.

석축 내부는 잡석채움을 했으며, 상단부의 경우 7~8단이 확인된다.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물은 시루편, 벼루편, 연질토기편, 경질토기편 등의 가야부터 통일신라 말기까지의 다량의 유물들이다.

확인된 유구와 유물 등을 근거로 가야세력들에 의해 처음으로 운용됐던 봉수유적인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통일신라 말기까지 그 명맥이 이어지다 폐기된 것으로 판단된다.

장영수 군수는 이번 "'장수 침곡리 봉수' 시굴조사의 성과를 통해 장수가야의 옛이름인 반파를 찾는데 한걸음 더 다가 섰다"며 "향후, 추가연구를 통해 문화재 지정을 추진하는 등 보존·활용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