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바람'에서 시작해 야권 통합후보 선출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복기할 필요가 있다. 아니, 더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문재인 현상'이 나타난 때부터 복기할 수도 있다. 이 과정 내내 나타난 특징적인 현상이 있다. '장'이 선 곳이 민주당 안이 아니라 밖이었다는 점이다. 문재인도 그랬고, 안철수도 그랬으며, 박원순도 그랬다. 모두가 민주당 밖에 있으면서 대중적 세를 모았고 스포트라이트를 받았다. 이런 현상 이면에 민주당에 대한 불신이 깔려있다 반MB 정서를 표출하고 싶으면서도 민주당을 통해 표출하기에는 왠지 찜찜하고 감질 나는 대중의 불만이 깔려있다.
▲ 민주당 손학규 대표 ⓒ프레시안(손문상) |
손학규의 대표직 사퇴를 이 흐름 속에서 살피면 그의 이후 전략이 확연하게 드러난다.
손학규가 민주당 대표직을 계속 수행하면 두 가지 손해를 본다. 발목이 잡히고 굴레를 뒤집어쓴다. 통합과 연대를 놓고 저울질 하는 민주당 내부 세력 틈바구니에서 조율하고 조정하는 데 세월을 허송해야 한다. 더불어 그 와중에서 연출될 지리멸렬함의 당사자가 돼야 한다. 가뜩이나 민주당 이미지가 안 좋은 판에 더 큰 덤터기를 쓰게 된다.
반면에 대표직을 던져버리고 '리베로'를 자처하면 얻는 게 많다. 박원순 변호사 지원을 명분으로 삼고, 통합과 연대를 목적으로 삼아 민주당 안과 밖을 넘나들면 자유롭게 말 할 수 있고 자기 본위로 이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음지에서 통합과 연대를 조율해봤자 티도 안 나고 이문도 안 나지만 양지에서 통합과 연대를 부르짖으면 때깔도 나고 지지도 얻는다고 기대할 만하다. 여기에 박원순 변호사를 성심으로 도와주는 모습을 연출하면 진정성도 획득할지 모른다고 기대할 만하다.
여기서 민주당의 견인 여부는 중요한 게 아니다. 손학규가 대표직을 사퇴함으로써 당 지도부의 공동화 현상을 낳고, 이것이 민주당 안의 통합과 연대 논의 동력을 쇠잔시킬 공산도 다분하지만 손학규에게 이는 중요한 게 아니다. 더 중요한 건 대선 주자로서의 자기 앞날이다.
이렇게 보면 손학규의 대표직 사퇴는 전적으로 개인적 선택이다. 더 좁혀 말하면 개인을 위한 선택이다. 후미진 골목 구석의 점포를 갖고 있느니 왁자한 장터에서 좌판 까는 게 낫다고 판단한 결과다. 겉만 번지르르한 점포보다는 행색은 초라해도 알짜배기인 좌판이 낫다고 여긴 결과다.
어차피 손해 보는 건 없다. 대선 출마를 포기하지 않는 한 민주당의 대권-당권 분리 규정에 따라 그의 대표직 수명은 12월로 끝난다. 길어봤자 2개월 차이다. 대표직을 2개월 더 수행한다고 크게 달라지는 건 없다. 오히려 대표직을 2개월 일찍 내던짐으로써 얻는 게 더 많다. 내년 4월 총선 일정을 기준으로 역산을 해 보면 통합과 연대의 시한은 사실상 연말까지다. 내년 1월이 되면 당이 공천체제로 돌아야 하기 때문에 이후의 통합과 연대 논의는 동력을 잃을 수밖에 없다.
손학규 대표는 이 2개월여 동안 짧고 굵게 베팅을 하려는 것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