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진보대통합, 종북주의ㆍ패권주의 앙금에 산통 깨지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진보대통합, 종북주의ㆍ패권주의 앙금에 산통 깨지나

"결렬" 선언했던 이정희, 양당 협상 제안했지만…

결렬 위기에 놓인 진보정당의 통합 협상이 막판 고비를 지나고 있다. 연석회의 틀을 통한 협상이 크게 보아 '종북주의' 문제로 결렬 위기에 놓인 가운데,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30일 양자 협상에 나선다.

제안은 이정희 민주노동당 대표가 먼저 했다. 이를 조승수 진보신당 대표가 받아 들였다. 조 대표는 다만 양 당의 추진기구위원장, 노회찬 전 대표와 강기갑 전 대표가 참석하는 '2+2 협상'을 하자고 제안했다.

사실상 마지막 협상이 되는 셈이다. 연석회의가 정한 통합을 위한 정책 합의의 1차 데드라인은 오는 31일이다. 막판 타결 가능성도 없지는 않지만, 이정희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장시간에 걸쳐 협상 결렬의 이유를 설명하며 정당성을 피력했다.

특히 최대 쟁점인 "북한의 3대 세습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한다"는 진보신당의 요구에 대해 "분단의 이분법"이라고 이 대표는 맹비난했다. 진보신당도 물러서기는 쉽지 않다. 협상 결과를 낙관하기 어려운 까닭이다.

북한 관련 입장 차이로 사실상 결렬된 연석회의

지난 27일 새벽 사실상 결렬된 진보진영의 통합 논의의 막판 걸림돌은 총 4가지였다. 그러나 가장 큰 쟁점은 역시 대북 문제였다. 그 중에서도 3대 권력세습 문제가 핵심이었다.

민주노동당은 "북의 권력승계문제는 국민들의 정서에서 이해하기 위해 국민들의 정서에서 이해하기 어렵더라도 6.15 정신에 따라 북의 체제를 인정하고 북을 평화와 통일의 동반자로 존중한다"는 문구를 주장했다.

반면 진보신당은 "3대세습과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비판적 입장을 견지한다"고 명시하자고 했다. "북한의 권력승계 문제에 대해 비판적 입장이 있긴 하지만 그 문제가 북한 스스로가 결정해야 할 문제임도 인정한다"는 중재안은 양 당 모두 거부했다.

또 '패권주의'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진보신당은 "패권주의를 극복하고"라는 문구를 원했고, 민주노동당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정희 "통합하자면서 또 '북한 비판 안 하면 종북' 상처내기 안 된다"

이정희 대표는 이에 대해 이날 "패권주의라는 말을 쓰려면 분파주의도 써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지만 저는 둘 다 쓰지 말고 미래의 민주적 운영의 방법을 쓰자고 했다"며 "서로 믿고 함께 일해야 할 사람들에게 '당신은 무슨 무슨 주의자'라는 딱지를 붙이고 싶지 않다"고 주장했다.

북한 관련 문제에 대해서도 이 대표는 "분단의 이분법은 보수 언론을 통해 국민들의 생각 깊은 곳에 잠재의식처럼 자리 잡고 있다"며 "이분법의 굴레에 들어가지 않으려는 시도 자체가 불온으로 낙인 찍히지만 맞서고 희생 당하면서라도 이겨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뿌리 깊은 분단의식을 극복하는 것은 진보정당이 커 나가기 위해 가장 중요한 조건"이라며 "진보(통합)정당을 새롭게 만들어놓고 또다시 (북한을 비판하는) 말을 안 하면 종북세력이라며 동료에게 상처를 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정희 대표가 '양자 협상 재개' 제안한 까닭은?

지난 27일 끝난 연석회의 대표자회의에서 "더 이상의 논의할 왜 필요한지 모르겠다"며 사실상 협상 결렬을 선언했던 이정희 대표지만, 이날은 진보신당에게 양자 협상을 다시 제안했다.

당시 "31일 다시 한 번 연석회의를 개최하자"는 조승수 대표의 제안도 거부했던 이 대표가 다시 '협상 재개'를 제안한 데는 결렬의 책임을 떠안을 수 없다는 부담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진보정당에 상당한 지분을 갖고 있는 민주노총은 이날 두 정당을 잇따라 방문해 협상 재개를 압박했다.

핵심 주체들이 다시 머리를 맞대지만, 타결에 이르기까지는 쉽지 않다. 결국 합의를 위해서는 양쪽 모두 적절한 수준의 양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민노-참여 선통합' 유시민은 강력하게 부인하는데…

"민주노동당이 진보신당과의 통합보다는 국민참여당과의 선통합으로 무게 중심을 옮겨가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끊이지 않고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정희 대표와 유시민 대표가 최근 4차례에 걸쳐 "밀도 있는" 협상을 벌였다는 얘기도 흘러 나온다.

양당 모두 현재는 이 같은 주장을 부인하고 있다. 유시민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 1년간 다른 진보정당 등과 대화한 결과 많은 공통점과 접점을 발견했다"면서도 "민노-참여당의 선통합이란 말은 존재하지도 않고 성립할 수도 없다"고 부정했다.

당사자들의 부인에도 이런 얘기가 계속 흘러나오는 이유는 있다. 정치공학적으로만 보면 민노-참여당의 통합은 양당 모두에게 이득이다. 민노당은 유시민 대표라는 강력한 주자를 얻고, 참여당은 전국적 조직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

가치의 차이도 합의가 훨씬 쉽다. 북한 관련 문제는 민노당과 진보신당 모두에게 '아킬레스건'이지만, 참여당과의 가장 큰 차이점으로 볼 수 있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평가는 이명박 정부가 재협상을 통해 풀기 쉬운 구조를 만들어줬다.

31일을 시한으로 못 박고 있는 민노당과 진보신당의 양자 협상이 다시 결렬될 경우, 진보진영의 통합 문제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될 가능성이 높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