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연구원은 9월 6일 ‘전라북도 행복지표 조사 및 정책연계방안’ 정책브리프를 발간했다.
정책브리프에 의하면 전북도민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순서는 1순위 건강만족, 2순위 경제적 만족, 3순위 사회문화적 만족, 4순위 사회적 관계 만족, 5순위 보건복지서비스 만족, 6순위 근로(교육)환경 만족, 7순위 지역사회 안전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보면 건강은 스트레스정도, 경제는 월평균가구소득, 사회문화는 여가활동횟수, 사회적관계는 가족관계 만족도, 보건복지는 의료서비스 만족도, 근로환경은 고용안정성, 안전은 주거만족도가 도민의 행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북형 행복지표는 국내외 행복지표 공통영역과 전북도민 300여명이 참여한 원탁회의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주관적 행복감, 경제적 만족도, 사회문화적 만족도, 건강만족도, 사회적관계 만족도, 보건복지 만족도, 사회안전 만족도, 근로(교육)환경 만족도 8대 분야 60개 세부지표로 구성됐다.
전라북도 14개 시·군 거주 주민 약 1,000명을 조사한 결과 전북도민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행복감은 10년 전 75.0점, 현재 74.0점, 10년 후는 77.9점으로 나타났다.
어려움을 겪을 경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은 평균적으로 9.0명으로 나타났으며, 부문별 만족도는 10점 만점에 나의 가치 7.9점, 삶의 성취도 7.4점, 미래의 희망 7.5점, 전북도민 자긍심 6.7점, 이웃신뢰도 6.6점, 취업기회 6.6점, 안전정도 6.9점, 생활환경 7.2점으로 나타났다.
김동영 박사는 “현재시점에서 도민의 행복도가 도시보다 농촌, 노인보다 청년, 소득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나 지역과 세대 및 소득 간 행복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기하며 전라북도 7대 행복사업을 제안했다.
특히, 원탁회의에서 도민 행복에 가장 중요한 분야로 나타난 가족행복을 위해 가족갈등예방을 위한 가족학교 운영, 지역사회 연계 가족봉사 확대, 장애인 및 치매노인 가족에 대해 공공 숙박시설 및 캠핌장 무료숙박을 지원하는 가족여행 바우처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그 외에도 지역진단지표를 활용한 동네활력 컨설팅 등의 동네활력 행복사업, 대규모 개발사업에 대해 도민 행복에 부정적 영향을 미리 개선하기 위한 행복영향평가제 도입, 치료에서 예방으로 도민의 건강을 지기키 위한 생애주기별 전북형 건강케어 등도 제안됐다.
도민의 행복과 지역발전을 도모하는 사업으로 행복중심 생태관광지 주민협정과 도시재생을 도민행복과 연계하는 행복마을 조성 시범사업, 행복지표의 지속적 조사와 관리를 위한 행복지표 전담관리제 도입 등도 함께 제안했다.
한편 전세계적으로 절대적 빈곤을 벗어난 나라나 도시의 경쟁력은 단순한 경제성장을 위한 성장 동력이 아니라 글로벌 환경에 맞는 사회적 동력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 대한 고민 즉 시민행복을 위한 정책으로 방향이 이동 중에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