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 보수를 자임하는 자유선진당과 세종시 수정의 한 축을 차지하고 있는 보수 언론이 날선 공방을 주고 받았다. 특히 동아일보와 자유선진당은 원색적 비난이 눈에 띈다.
25일 이 총재가 "지금 일부 신문은 이 정권의 세종시 원안 수정을 옹호하고 선동하기 바쁘다"면서 "종편이 일부 신문을 노예로 만들고 있다는 혹평을 듣고 있다"고 쏘아붙인 게 공방전의 시발이다.
그는 "지금 이 정권의 세종시 원안 수정에 대해서 찬반 양론이 극명하게 대립되어 있는 마당에 원안 수정 반대론에는 귀를 기울이지 않고 오직 수정론만 대서특필하는 것은 정권의 나팔수가 아니고 무엇인가"라고도 말했다.
이 총재의 이 발언에 대해 <조선일보>와 <중앙일보>는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동아일보>는 26일 '이회창 총재의 언론모독과 민주당의 이중잣대'라는 사설을 통해 "우리는 결코 정부의 노예도, 종편의 노예도 아니다"라고 반발했다.
이 신문은 자신들이 "장기적 국가 이익과 대다수 국민 이익, 즉 총체적 국익(國益)을 진지하게 고민하면서 세종시 문제를 다루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 총재가 자신의 정치적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해서 일부 신문에 대해 '노예' 운운하는 것은 심한 명예훼손"이라며 "그의 어법을 패러디한다면 '이 총재는 세종시 원안을 옹호하고 선동하기에 바쁘다. 지역당의 정치적 이익이 이 총재를 노예로 만들고 있다'고 할 수 있다"고 반격을 가했다.
<동아일보>는 이어 "이 총재는 2002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시절 노무현 민주당 후보가 내놓은 행정수도 이전 공약을 앞장서 비판했다"며 "그런데 그는 충청권에 기반을 둔 선진당 총재가 되면서부터 세종시의 미래와 국가 장래를 위한 진지한 논의에 귀 막고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발언을 계속 하고 있다. 그야말로 지역정서의 노예가 아닌가"라고 덧붙였다.
<동아>의 반응이 격하게 나오자 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은 "도둑이 제 발이 저렸나? 왜 발끈할까?"라는 논평으로 즉각 재반격을 가했다.
박 대변인은 "속이 검어서 숨 쉴 때마다 그을음을 토해내는 것인가"면서 "그동안 주요언론들이 세종시와 관련해서 정부보다 더 강한 목소리로 원안을 수정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여왔음은 일주일치 신문만 나란히 놓고 봐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청와대 대변인을 거쳐 이 정권의 홍보를 책임지고 있는 이동관 수석과 방송법 개정에 따라 언론사들의 생사여탈권을 쥐게 된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그리고 부처 장관들까지 따돌리며 정책발표에 열을 올리고 있는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까지, 이 정권의 실세 중의 실세들이 다 <동아일보> 출신들 아닌가?"라면서 "그래서 더 앞장서는가"라고 직격했다.
최 위원장과 이 수석은 이 신문의 정치부장을 지냈고 곽 위원장은 객원논설위원 출신이다.
박 대변인은 "세종시를 밀어붙이기 위한 이 정부의 무리한 행동들을 거들기 위해 대(大)동아일보가 어떤 기사를 써왔는지, 누구보다도 자신들이 더 잘 알 것"이라며 "자신들은 아니라고 하지만, 국민은 알고 있다, 방송 채널 때문이라는 사실을. 도둑질을 하지 않았으면 그렇게 발끈할 일도 없고, 생선을 먹지 않았으면 입이 비릴 리도 없다"고 맹비난 했다.
<조선> 김대중 "당국이 실컷 '재미'본 뒤 처리한다는 소문"
사실 '종편의 노예'논란은 이 총재가 먼저 꺼낸 것도 아니다. 정치권과 언론계 안팎에서 이미 비슷한 얘기가 파다하다.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도 23일 기명칼럼을 통해 "지금 시중에는 방송권(종합편성권)을 따려는 신문사들이 허가권을 쥔 이명박 정부의 비위를 건드리지 않으려고 정부 비판기사를 자제하고 있다는 말이 나돌고 있다"면서 "또 정부는 정부대로 종편을 따려는 신문사들의 처지를 역으로 이용해 '친(親) MB'적 상황을 유도하려는 기미를 보이고 있다는 소리도 들린다"고 털어놓았다.
김 고문은 "그래서 당국은 방송허가권을 쥐고 있을 수 있는 끝까지 끌고가 실컷 '재미'를 본 뒤에 처리하려 한다는 소문도 있다"면서 "어쩌면 내년 6월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끝난 뒤에나 방송권의 행방이 결정될 것이라는 말이 그럴듯하게 들리는 이유가 거기에 있다"고 항간에 떠도는 '시나리오'를 소개하기도 했다.
미디어법 개정에 찬성하는 측이든 반대하는 측이든 "종편 허가가 떨어지는 순간 이명박 정부에 대한 보수 언론의 태도가 분화할 것"이라는 관측에는 이견이 없다. 또한 '시장 상황을 감안하면 셋 다 허가해주는 것은 셋 다 망하라는 뜻이어서 결국 선택할 수밖에 없다'는 예측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선택에서 배제된 언론사의 태도를 미루어 짐작하기는 어렵지 않다는 것이다. 결국 자유선진당의 지적처럼, 현재가 '보수언론이 종편의 노예' 상황이라면 미래의 시나리오는 '종편이 이명박 정부의 늪'으로 변하는 수순이 될 수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