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남은 자의 슬픔 시즌2'. 성공회대 한홍구 교수는 '노무현 이후'를 이같이 규정했다.
7일 오전 서울 조계사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 심포지엄-노무현의 시대정신과 그 과제'에 참석한 한 교수는 노 전 대통령을 "광주의 아들로 '살아남은 자의 슬픔'을 간직한 사람"이라면서 "과거 청산이 노무현을 죽음에 이르게 한 근본 문제"라고 말했다.
"과거 청산 작업 이후 뉴라이트가 등장"
한 교수는 "노무현에게 기대했던 진보적 가치들은 거의 실현되지 않았다"면서 "참여정부 시절 정권이 수구세력이나 조중동과 대립했던 문제들은 경제정책에 관련된 것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한 교수는 "시민사회에서 군사독재 잔재의 청산문제가 제기되었을 때 김대중은 국고로 박정희 기념관을 짓겠다고 했고, 노무현은 포괄적 과거청산을 실행에 옮겼다"고 말했다.
국정원과거사진상규명위원이었던 한 교수는 "대통령까지 지낸 노무현이 한국사회에서 끝내 비주류로 남을 수밖에 없었던 것도 바로 과거청산 때문이었다"면서 "2004년 가을 뉴라이트가 갑자기 등장한 것도 탄핵에서 살아 돌아온 노무현이 과거청산 작업을 시작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부끄러운 역사를 바로잡자는 것, 이것이 노무현 표 과거청산의 기본정신이다. 노무현의 정신, 가치가 꼭 진보적일 필요는 없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교수는 "친일과 유신, 5공과 지역감정의 화신들이 탄핵결정서를 들고 헌법재판소를 찾은 한장의 사진은 과거 청산 없는 민주화가 초래한 민주주의의 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줬었다"고 덧붙였다. 광주 민주화운동 이후 살아남은 자의 일차적 과제가 과거청산이었고 노 전 대통령이 그 과제를 떠맡았으나 이에 반발한 기득권 세력의 반격이 거셌다는 것이다.
한 교수는 이어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은 한 시대가 장엄하게 끝났음을 상징한다. 광주의 자식들이 몸받쳐 싸워온 민주화 운동의 세대가 이렇게 끝난 것"이라면서 "다시 시작될 '살아남은 자의 슬픔 시즌2'는 광주에서 시작된 시즌1에 비해 훨씬 더 대중적으로 폭넓게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중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한홍구 교수는 "대중들은 늘 다시 일어나지만 그들이 일어나는 순간 역시 절묘했다"며 대중의 힘을 찬양했지만 이에 대해선 이견이 나왔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시사평론가 김종배 씨는 "민심은 언제 또 바뀔지 모른다"면서 "'盧추모'도 '反MB'도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명박 대통령 개인에 맞춰져 있다는게 문제다"고 지적했다.
그는 2002년 대선 때 노무현 전 대통령을 찍었다가 2007년 대선 때 이명박 대통령을 선택한 사람들을 "캐스팅보트권을 쥔 결정적 변수들"로 규정하며 "이들은 이중적이다. 2008년엔 촛불을 들었고, 2009년엔 향불을 피웠지만 같은 해 벌어진 총선에서 뉴타운에 열광했고 용산참사에 냉담했다"고 지적했다.
경희사이버대 민경배 교수 역시 "대중은 위대하지만 때로는 신뢰할 수 없다"면서 "개천에서 난 용에 열광했지만 그들 자신이 기득권에 편입되길 원하는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대근 경향신문 정치사회에디터는 "이명박 반대로만은 안 된다"고 말했다. 이 에디터는 "어떤 분은 현재를 파시즘 초기라고 하고, 어떤 정당은 정권 퇴진을 주장하며 운동본부를 만드는데 이명박 정부에 대한 평가가 에스컬레이트 되는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에디터는 "그렇게 되면 20년 전처럼 오직 반대밖에 할 수 없다"면서 "대안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유시민 "언론이 편들어주길 원한 적 없다. 하지만"
주제발표와 토론이 끝난 후 객석에 있던 한 참석자는 "왜 한겨레와 경향이 이 행사를 후원하냐. 이들 신문이 노 전 대통령 서거 국면에서 오히려 조중동 보다 더 심했다"면서 토론자인 이대근 에디터를 지목하기도 했다.
객석에 있던 유시민 전 장관 역시 "편들어주지 않아 외로웠던 것은 아니다. 편들어 주길 원한 적도 없었다면서 "왜 진실을 찾아가려는, 진지한 자세를 보인 언론이 없었나 묻고 싶다"고 가세했다.
유 전 장관은 "진실을 찾는데 성실하지 않았고 사실을 보도하는데 충실치 않았다는 점을 (언론이) 인정한다면 그런 대안에 대한 성찰을 듣고 싶다"고 말했다.
이에 <한겨레21> 안수찬 사회팀장은 "한국 언론의 한계가 분명하다. 기자들이 노력은 하지만 검찰과 출입처에 경도된 점이 분명히 있다"면서도 "지금 이 자리에서 자세히 논의하기에는 시간적 한계가 있는데, (모든 언론에) 일방적 반성만을 요구하는 것은 추모의 기억을 독점하려는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고 답했다.
이대근 에디터는 "보편적으로 모든 권력자는 언론을 싫어한다"면서 "권력과 언론이 대립하고 갈등하는 것은 운명이다. 언론이 권력을 비판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기본요건이다"고 둘러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