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당시 제주 해군 기지로 향하는 철근 400톤이 실린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세월호가 침몰 당시 무리하게 출항한 이유가 제주 해군 기지 공사 기일을 맞추기 위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미디어오늘>은 15일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 관계자와 복수의 청해진해운 거래처, 제주 소재 업체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세월호 침몰 당일인 4월16일 세월호엔 400톤의 철근이 실렸으며, 그 대부분은 제주해군기지 공사에 따른 수요를 충당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 매체와 인터뷰한 청해진해운 한 관계자는 "세월호에 실리는 철근은 보통 20%는 다른 곳으로 가고, 80%는 제주 해군 기지로 간다"며 "다만 당일(2014년 4월 15일 화물 적재 당시)은 100% 해군 기지로 가는 것이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검찰은 세월호 침몰의 주요 원인으로 과적을 꼽아왔다. 당시 컨테이너 자체 무게와 차량 등을 제외한 일반 화물이 1094톤이었는데, 이 가운데 3분의 1을 차지하는 410톤이 바로 철근이었다.
특히, 130톤가량은 선박의 복원성을 약화시키는 선수갑판(C데크)에 실린 것으로 확인된다. 세월호가 좌현으로 기울었을 당시 제일 먼저 쏟아져내린 것이 철근과 H빔이었다. 최근 <뉴스타파>는 명성물류가 화물피해액을 감정받은 손해사정법인을 취재해 실제 세월호에 실린 철근이 410톤이며, 이 가운데 3분의 2가 D갑판에, 3분의 1은 C갑판(선수)에 실렸다고 보도한 바 있다.
<미디어오늘>은 청해진해운의 오랜 거래처인 <명성물류>에 대해 "410톤의 화물을 한꺼번에 실은 경위를 조사해야 한다"고 밝히며, 또 실제 선적량은 410톤이었으나 당시 선적 의뢰서에는 286톤밖에 기재되지 않은 데 대해서도 조사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매체는 아울러 청해진해운이 인천-제주항로로 연간 수만 톤의 철근을 제주 해군 기지로 수송한 사실을 전했다. 지난 2013년 6월에 작성된 청해진해운의 '화물수송실적' 문서에 따르면, 청해진해운은 출하주인 동국제강으로부터만 연간 1만5000톤의 철근을 수송한 것으로 돼 있다. 청해진해운은 2012년에 작성한 여러 문서에서 세월호 도입을 앞두고 제주 해군 기지 건설에 따른 건설 자재 수송에 "능동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이 매체는 "2014년 4월15일 밤 인천의 기상상태는 좋지 않았다. 무리한 출항의 원인이 제주 해군 기지 공사의 자재 수급과 연관된 것은 아닌지 의심되는 부분"이라며, 이것이 청해진해운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국정원에 해양사고를 보고하게 한 까닭이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