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히틀러와 이명박의 공통점?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히틀러와 이명박의 공통점?

[군사주권을 빼앗긴 나라의 비극] <16> 합동참모본부의 실체 (1)

1938년 1월 25일 저녁. 헤르만 괴링은 게슈타포가 작성했던 서류철을 들고 히틀러를 찾았다. 서류에는 한스 슈미트라는 한 사기꾼의 진술이 적혀 있었다. 이 사기꾼은 "베를린의 한 거리에서 젊은 남성과 동성애에 빠져 있는 육군 장교를 목격했는데, 그는 다름 아닌 폰 프리츠(Werner von Fritsch) 육군 총사령관이었다"고 말한다. 괴링이 직접 재판장이 되어 동성애를 했다는 추문을 재판하여 프리츠 장군은 숙청되었다.

그다음 차례는 전쟁성 장관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원수였다. 오랫동안 홀아비였던 블롬베르크는 그해 1월에 재혼을 한 부인이 매춘부였다고 날조되었다. 괴링은 이를 이유로 독일 육군의 최고위 장교를 파면시킨다. 군부 숙청은 히틀러에게 비판적이던 16명의 장성을 예편시키고, 44명을 좌천시키는 것으로 끝을 맺었다. 이어 1938년 2월 4일 히틀러는 라디오 연설을 통해 "앞으로는 내가 전군의 지휘권을 직접 행사한다"고 긴급령을 공표한다.

이어 히틀러가 국방군 최고사령부(OKW)를 신설해 육·해·공군을 모두 장악하자 히틀러에게 감히 직언을 할 수 있는 군인은 아무도 없었다. 200년 전통의 독일 총참모부는 이렇게 괴멸되었다. 그리고 이듬해에 2차 대전이 일어났다. 군권을 직접 행사하는 히틀러의 독단으로 독일군은 1941년 러시아 원정에서 30만 기갑부대가 궤멸되었고 마침내 독일은 파멸의 길로 치닫게 된다.

2010년 12월의 어느 날. 정권 실세의 비호를 받으며 승승장구하던 한 육군 준장이 황의돈(육사 31기) 육군 총장 사무실로 찾아왔다. 그는 황 총장 전임인 한민구(육사 31기) 총장에게도 똑같이 제출했던 문건 하나를 꺼내 놓으며 당시 군의 작전통으로 알려진 핵심 장교들이 좌파정부에 부역한 좌파장교들이라며 날조된 내용을 설명했다. 그러나 황 총장은 "수용할 수 없다"며 이를 물리쳤다.

그리고 며칠이 지난 12월 9일자 <조선일보>에 황 총장이 8년 전에 "부동산 투기를 했다"는 기사가 대서특필되었다. 역대 정부가 다 검증하고 "이상이 없다"고 한 일이 새삼 들춰진 것이다. 청와대는 기다렸다는 듯 황 총장의 사의를 수용하는 형태로 경질해버렸다. 12월 15일에 청와대는 육군 총장에 이명박 대통령의 동지상고 후배인 김상기(육사 32기) 대장을 임명했다. 이런 식으로 미친 듯이 군 수뇌부를 갈아치운 이명박 정부에서는 2년 임기의 육군 총장이 모두 5명 거쳐 갔다. 그 여파로 야전군사령관까지 1년도 채우지 못하고 계속 교체되는 인사 대란이 5년 내내 이어졌다.

이런 식의 정치 인사에 합참인들 무사할 리 없었다. 이명박 정부 초기에는 참여정부 당시에 작전의 최고 인재가 등용되는 합참 작전부의 합동작전과장 출신 4개 기수의 장교들이 진급에서 탈락되고 좌천되었다. 구체적으로는 김종배(육사 36기), 신원식(육사 37기), 김왕경(육사 38기), 장경석(육사 39기)이 바로 그들로서 한직인 학교기관으로 쫓겨나거나 비작전 부서로 밀려났다. 이로 인해 이명박 정부 들어서자 합참이 연합과 합동을 구현하는 제대로 된 작전계획을 작성할 줄 아는 사람이 없었다.

합참의 전문성이 붕괴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각 군의 전문성도 붕괴되었다. 참여정부 당시까지는 각 군 총장들은 현행 작전을 수행하는 야전군사령관이나 작전사령관 출신이 등용되는 것이 하나의 전통이었다면 이명박 정부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예컨대 공군의 경우 참여정부까지는 24대 이광학(공사 11기), 25대 박춘택(공사 12기), 26대 이억수(공사 14기), 27대 김대욱(공사 15기), 28대 이한호(공사 17기) 총장이 모두 작전사령관 출신이다. 작전사령관 출신이 아닌 총장은 국방정보본부장 출신인 29대 김성일(공사 20기) 과 30대 김은기(공사 22기) 총장 정도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는 31대 이계훈(공사 23기), 32대 박종헌(공사 24기), 33대 성일환(공사 26기) 3명 중 작전사령관 출신이 없고 모두 교육기관이나 정보기관 출신이다. 주로 작전 분야에서 고생한 장군들이 물을 먹고 총장과 가까운 인사, 교육, 전력분야 출신들이 주로 진급되는 경향이었다. 해군의 경우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군대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는 전투와 작전, 기획에 정통한 고위 장교들은 밀려났다.

물론 새로 등용된 장교들이 무능하거나 타락한 인사들이라고 단언하기는 어렵다. 필자는 그들의 명예를 훼손할 생각은 없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에서 날조된 정보로 특정인을 낙마시키고 살생부가 나도는가 하면, 역대 정부가 준수했던 군 인사에 전문성을 고려한다는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 무너졌다면 이는 전군에 무언가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하게 된다.

어쩌면 장교들에게 소신도, 철학도 없고 과시적이며 기회주의적인 장교가 출세한다는 인식이 자리 잡은 것이다. 이는 히틀러가 군을 장악하던 것과 거의 유사했다. 한국군은 과거 정권을 안보를 와해시킨 종북 정권으로 매도하는 새로운 이데올로기 운동으로 이어졌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