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1994년 신촌 '독다방' 앞 신인류의 사랑…ㄱ나니?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1994년 신촌 '독다방' 앞 신인류의 사랑…ㄱ나니?

[TV PLAY] tvN <응답하라 1994>

추억은 힘이 세다. 그것이 한 사람만의 것이 아니라 여럿이 공유하는 것이라면 더욱. tvN <응답하라 1994>는 이 추억의 힘을 엔진 삼아 달린다. <응답하라 1994>는 지난해 신드롬에 가까운 인기를 끈 tvN <응답하라 1997>의 샴쌍둥이 같은 작품이다. 전작의 성공에 고무된 제작진은 곧바로 '응답하라' 시리즈 제작 계획을 밝혔고, 구체적인 개요가 밝혀지기 전부터 많은 사람들이 기다렸다.

<응답하라 1997>은 대중문화의 주 소비층일 뿐 아니라 방송의 주 시청자인 2,30대 여성 중 많은 이들이 공유하는 1990년대 팬덤 문화, 소위 '빠순이'가 주인공이었다. 여기에 만화가 아다치 미츠루의 대표작 <H2>와 델리 스파이스의 '고백'이 공유하는 정서인 소꿉친구와 첫사랑이라는 키워드가 더해지자, 반응은 예상보다 훨씬 거셌다. 세심하게 재현된 시대 배경과 한 두 개쯤은 우리 집 어딘가에도 먼지를 뒤집어 쓴 채 있을 것 같은 소품들, 충분히 예상되지만 끝까지 마음 졸이게 만든 성시원(정은지)의 남편 찾기 플롯, 그리고 사투리뿐 아니라 시대의 정서까지 담아낸 신인 배우들의 호연까지 <응답하라 1997>은 장점이 참 많은 드라마였다.

▲ tvN <응답하라 1994>의 고아라. ⓒtvN

그래서 <응답하라 1994>가 <응답하라 1997>의 성공 공식을 따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1997년의 아이돌 빠순이는 1994년의 연대 농구부 빠순이가 되었고, 거친 말투 속에 뜨끈한 인심을 담아낸 부산은 팔도 사투리가 격돌하는 서울의 신촌으로 자리를 옮겼으며, 교복 차림으로 매점에서 간식을 나눠먹던 고등학생은 하숙집 식탁에 둘러앉아 첫 미팅과 첫 MT의 설렘을 나누는 대학 신입생이 되었다. 여전한 것은 그 때 그 시절을 살았던 사람들은 맞아 맞아 하며 고개를 끄덕일 수 있게 재현된 1994년의 풍경과 주인공 성나정(고아라)의 남편이 과연 누구인가라는 미스터리, 그리고 교차하는 사랑의 작대기다.

지금은 과거의 명성을 많이 잃었지만 신촌은 오랫동안 대학가와 동의어인 젊은이의 거리였다. 연세대, 서강대, 이화여대가 위치해 대학생의 왕래가 잦았고, 당연히 최신의 유행이 발현하는 거리 중 하나였다. 지금은 이름이 바뀐 그레이스 백화점과 이름만 남은 독수리 다방 같이 신촌의 명물은 그 때 그 시절의 추억을 호명하기에 부족함이 없다.

그리고 비단 극중 인물들처럼 신촌에서 학교를 다닌 사람이 아니라도 지방에서 서울로 진학하며 상경한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추억과 감성이 <응답하라 1994>의 핵심축이다. 1회의 주요 사건이었던 삼천포(김성균)의 혹독한 서울 입성은 비록 정도는 다를지언정 낯선 서울에 첫 발을 내딛었던 당시의 설렘과 두려움을 떠올리게 하기에 충분했다. 가족이 아닌 사람과 함께 앉은 식탁에서 느낀 어색함과 친근함 사이 어딘가에 위치한 묘한 감정도.

러브라인에 있어서는 <응답하라 1997>이 <H2>와 닮았다면, <응답하라 1994>에서는 아다치 미츠루의 <터치>와 <미유키>가 연상된다. 특히 <터치>는 <러프>와 함께 <응답하라 1997>에서도 여러 설정과 장면에 영향을 준 작품이다.

<터치>는 어린 시절 소꿉친구로 함께 자란 쌍둥이 형제와 여주인공이 사이에서 쌍둥이 중 한 명이 사고로 죽자 남은 두 사람이 겪는 감정의 파고를 그린다. <미유키>는 피가 섞이진 않았지만 호적상 남매 사이인 미유키와 마사토의 사랑 이야기다.

<응답하라 1994>의 2회에서 쓰레기(정우)가 나정의 친오빠가 아니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어릴 적 소꿉친구였던 나정과 쓰레기는 나정의 친오빠가 죽은 뒤 친남매처럼 자랐다. 하지만 스무 살이 된 나정이 쓰레기에게 전과 다른 감정을 느끼면서 두 사람의 관계가 변화를 맞는 것이 암시되었다. 여기에 나정의 부모가 운영하는 하숙집에서 함께 살게 된 삼천포, 해태(손호준), 빙그레(바로), 그리고 빙그레의 서울 토박이 사촌 칠봉이(유연석)까지 나정의 남편 후보자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 tvN <응답하라 1994>의 정우. ⓒtvN

현재 시점에서 돌이켜보면 90년대는 '90년대 감성' 같은 표현처럼 한 덩어리로 묶이지만 그 안에서 1997년과 1994년의 추억은 다르다. 누군가를 향해 '오빠'를 목 놓아 외쳐 본 사람과 인생에 있어 한 번도 빠순이라 불린 적 없는 사람 청춘은 다르고, 서울에서 나고 자란 사람과 서울의 복잡한 지하철과 수많은 인파에 흠칫 놀라 본 지방 출신들이 기억하는 서울도 다르다.

하지만 비록 자신이 똑같이 겪지 않았어도 시절의 대표적인 키워드가 상기시키는 풍경은 자연스레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더욱이 <영 챔프>와 <상실의 시대>, 트윈엑스 화장품과 486 컴퓨터, 노란색 지하철 표가 눈앞에 들이밀어졌을 때, 순식간에 밀려드는 추억에 심장이 두근거리지 않을 수 있을까. 그리고 이 강력한 추억보다도 한결 더 힘이 센, 첫사랑 이야기마저 있지 않은가.

<응답하라 1994>은 <응답하라 1997>과 명백한 닮은꼴이지만 여전히 '추억 팔이'라 폄하할 수 없고 '추억 앓이'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다만 그리 오래된 과거가 아닌 90년대가 '그 때가 참 좋았지'라고 회고되는 이유는 앞으로도 계속 곱씹어보게 될 것 같다. 추억이라는 말 속에 퇴행 혹은 현실도피가 숨어있지는 않은지 말이다. 하지만 동시에 이토록 팍팍한 세상에서 살고 있는데, 도망 좀 치면 안 되는 것인가 생각한다. 사는 낙이 '지금, 여기'에 없는 사람이 너무 많은데 말이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