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아온 주민들, 다시 시작한 섬 생활
1년 사이 섬은 어떻게 바뀌었을까? 포격 현장부터 가봤다. 5채의 집이 완파돼 뉴스 중계가 단골로 진행되던 중앙로의 폐허에는 새집이 지어지고 있었다. 도로에 떨어진 포탄 자국도 새로 포장돼 있었다. 복구가 한창인 마을에선 포격의 흔적을 찾기란 쉽지 않았다. 마을 운동장 담에 선명했던 포탄의 흔적이 그대로 있었고, 마을 한편에 포격으로 불탄 집이 천막 안에 보존돼 있는 정도였다.
▲ 연평도 마을 전경. 복구가 한창인 마을에서는 포격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지 않았다. ⓒ프레시안(최형락) |
▲ 포격으로 파손된 집들은 새로 지어졌다. 대부분 마무리 단계다. ⓒ프레시안(최형락) |
포격의 흔적이 희미해졌듯 섬을 떠났던 주민들도 대부분 마을로 되돌아왔다. 당시의 공포는 사라지지 않고 끊임없이 주민들을 괴롭혔지만 섬 아닌 다른 곳을 택할 수 있는 사람들은 많지 않았다.
이경근(86) 할머니 역시 인천에서 찜질방 생활을 하다 섬으로 돌아왔다. 1년 전, 포탄이 집 바로 앞 도로에 떨어졌을 때 할머니는 그 앞에서 시래기를 다듬고 있었다. 포탄의 충격으로 집 유리창은 모두 깨져버렸다. 크게 놀라 피난을 떠났다. 하지만 육지 생활은 불편하기 이를 데 없었다. 찜질방에서 한 달 이상을 지내기도 했다. 섬으로 돌아왔지만 지금도 어디서 '쿵' 하는 소리만 들려도 가슴을 쓸어내린다.
연평도에서 나고 자란 할머니는 황해도로 시집을 갔다 한국전쟁이 터지자 다시 연평도로 피난을 와서 지금까지 살았다. 이 섬은 그녀의 고향이자 유일한 생활 터전이었다. "그래도 여기 말고 어디 가서 사느냐"는 할머니의 말은 섬으로 돌아올 수 밖에 없었던 대부분의 주민들의 속사정과 다르지 않았다. 섬 사람들에게 돌아오는 것은 힘든 선택이었지만 여지가 없는 선택이었다.
▲ 김장 배추 따는 이경근 할머니. "작년에는 피난간다고 김장도 못했는데 올해는 할 수 있어서 그래도 다행이야" ⓒ프레시안(최형락) |
▲ 해안가 도로에 아직 남은 포격 흔적 ⓒ프레시안(최형락) |
생계 대책 없는 보상, 주민들 불만 팽배
보상에 대해 주민들의 불만은 컸다. 포격 이후 온 나라가 시끌벅적했지만 정부가 내놓은 대책 중 생계에 보탬이 되는 보상은 없었다는 것이 주민들의 주장이었다. 한 주민은 "인천에서 택시를 타면 백이면 백 연평도 사람들 보상받고 부자 된 줄 안다"며 억울한 심정을 토로했다.
정부는 완파된 집을 새로 지어주고 부분적으로 파손된 집을 보수해주었다. 연평초등학교 운동장에 임시주거시설을 마련해 집을 잃은 주민들이 지내도록 했다. 그런데 주거 신축과 건물보수는 집을 잃은 사람들에게만 해당됐고, 이에 해당하지 않는 다른 주민들이 정부로 받은 보상은 없었다. 국민들이 모아 준 성금이 배분됐지만 1인당 150만원이 전부였다.
뭍으로 피난 나간 수개월 동안 일하지 못해 생긴 손해에 대해 주민들은 대책을 요구하고 있었다. 섬에서 민박집을 운영하고 있는 주민 김영식(61)씨는 "우리는 정신적 피해보상까지를 바라는 것도 아니고 3개월여 동안 고기잡이, 꽃게 잡이 못한 것이라도 보상해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연평도의 꽃게잡이는 포격으로 중단됐고, 이 틈을 노린 중국 어선이 경계를 넘나들며 조업하기도 했다. 주민들은 아직도 그 때를 생각하면 부아가 치민다.
▲ 꽃게를 그물에서 빼내는 작업이 저녁까지 이어졌다. 연평도는 꽃게잡이철이다. ⓒ프레시안(최형락) |
군사 요새화하는 섬, 주민들 생활은 위축
반면, 눈에 띄게 개선된 것이 있다면 급증한 군병력이었다. 1년 동안 서북 5도의 주둔 장병은 1000여명이 늘었다. 다연장포와 대포병레이더, 중무장한 공격헬기와 관측장비가 배치됐고, K-9 자주포 부대도 2배 이상 증강됐다. 이를 위해 1000억원대의 국방비가 투입됐다.
병력의 증강은 주민들의 생활과 무관하지 않았다. 해병대 출신으로 피난가지 않고 섬에 남았던 한 할아버지는 지난 1년 동안 달라진 생활을 묻자 "농사를 그만뒀다"는 의외의 대답을 내놨다. "4000평 되는 땅에 농사 짓고 살았는데 군부대서 포진지 짓는다고 해서 제값 못받고 팔았다"는 것이다. 할아버지의 얼굴은 1년 전 포격 당시를 회상하며 짓던 표정만큼 일그러져 있었다. "나라에서 달라니 줘야지 어떡하냐"는 말 뒤에는 "나라 위한 일이니 후회하지는 않는다"는 말이 따라 붙었지만 얼굴에는 안타까운 기색이 역력했다.
김영식 씨의 얘기도 이와 통하는 데가 있었다. "산에 올라가도 그렇고 섬에서 군인들이 통제하는 곳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군은 "기자들이 많이 와서 통제하는 것"이라고 했다지만 기자도 아닌 주민으로서 통제당한 김 씨의 해석은 달랐다. 군병력이 확장되고 주민은 협조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앞으로 주민의 입지가 더 좁아질 수 있다는 걱정이었다. 그는 "연평도는 점점 군사시설이 돼 갈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악화된 날씨만큼 섬은 어두웠다. 풍랑에 배가 흔들리듯 연평도는 밖에서 불어오는 바람에 흔들리고 있었다. 23일, 이곳에선 떠들썩한 추모행사와 대규모 군사훈련이 예정돼 있다.
▲ 포격 당시 산불로 그을린 나무들은 모두 베어졌다. 산에는 작은 묘목이 자라고 있었다. ⓒ프레시안(최형락) |
▲ 안보교육을 위해 포격 당시 불탄 집을 천막으로 보존해 놓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 새로 지어지는 대규모 대피시설 ⓒ프레시안(최형락) |
▲ 23일 추모행사가 에정된 마을 운동장에 플래카드가 붙어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 포격 당시의 기록사진전을 보는 마을 아이 ⓒ프레시안(최형락) |
▲ 아직도 선명한 포탄 자국. ⓒ프레시안(최형락) |
▲ 섬 아이들과 군인들이 만들어 놓은 돌에 각자의 바람이 써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 이른 새벽 굴을 따러 나가는 주민의 뒷모습. 포격 1년. 섬은 점점 일상을 찾아가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 이른 새벽. 초승달이 초소 위에 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