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18명 목숨 앗아간 산사태, 피해 마을은 지금…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18명 목숨 앗아간 산사태, 피해 마을은 지금…

[포토스케치] 우면산 산사태 피해 입은 세 마을 가보니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우면산 산사태는 위력적이었다. 기록적인 폭우는 산 위의 저수지 둑을 터뜨렸고 이와 함께 발생한 산사태는 산 자락의 마을을 휩쓸었다. 우면산 일대에서만 18명이 사망했다.

방배동 래미안 아파트. 가장 큰 규모의 산사태가 일어난 곳이다. 아파트 3층 높이까지 직격탄을 맞았다. 진흙은 지하주차장까지 밀고 들어갔다. 중장비와 군·경이 대규모로 동원됐지만 아파트 중앙에는 손도 대지 못할만큼 많은 양의 토사가 쌓여 있었다. 진흙으로 뒤덮인 도로 역시 작업량이 많아 이날 통행이 재개되지 못했다.

▲ 산사태가 덮친 방배동 래미안 아트힐 아파트. 한 주민이 당시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형촌마을은 산 위의 생태공원 저수지가 터져 홍수를 맞았다. 수량이 많고 마을의 경사면이 급해 피해가 컸다. 2층까지 물이 찬 집이 있을 정도다. 저수지 물을 빼내기 위해 묻어둔 배수관에서는 여전히 물이 솟아올랐다. 군인들은 모래포대로 제방을 쌓아 물길을 틀었고 주민들은 집집마다 침수된 가제도구를 내놓고 토사와 물을 빼내느라 분주했다.

남태령 전원마을의 집들은 대문을 밀고 들어온 흙더미에 1층이 내줬다. 집집마다 반지하 방은 거의 천정까지 침수됐다. 한 30대 남성이 반지하 방에서 갑자기 밀려든 급류에 사망하기도 했다. 산기슭에서 길가로 쓰러진 나무들은 어제 오전 행인을 덮치기도 했다. 전원마을에서만 6명이 사망했다. 집을 잃은 주민들은 이 마을 등대교회에 대피해 있다.

우면산 산사태는 10곳도 넘는다. 무리한 생태공원 조성과 무분별하게 만들어진 등산로가 원인으로 지목됐다. 큰 돌이 많지 않고 뿌리가 깊지 않은 아카시아 등의 수종이 많다는 점도 원인 중 하나였다.

자연 앞에 사람은 작았다. 거대한 산사태와 홍수를 막을 힘은 누구에게도 없었다. 순식간에 발생한 18명의 사망자가 그 점을 말해줬다. 그러나 다시 예전의 생활을 이어 나갈 것을 의심하는 사람은 없어 보였다. 주민들은 어린 장병들과 함께 온 몸에 진흙을 뒤집어쓰며 다시 일상을 발굴하기 시작했다. 산사태가 난 지 하루가 지난 28일 우면산 자락의 세 마을을 사진으로 기록했다.

▲ 산사태의 흔적. 이곳에 있던 나무들이 뿌리째 뽑혀 토사와 함께 아파트를 덮쳤다. ⓒ프레시안(최형락)

▲ 한 주민이 어두운 표정으로 피해지역을 보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빠른 속도의 산사태는 도로 옆 담장을 부수고 낮은 지대의 아파트를 덮쳤다. ⓒ프레시안(최형락)

▲ 아파트에서 진흙을 빼내는 장병들. 방배동 래미안 아트힐에서만 4명이 사망했다. ⓒ프레시안(최형락)

▲ 방배동 아파트의 한 가정집에서 내다 본 풍경. 도로옆 담이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토사가 가득 차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아파트 지하주차장까지 들이닥친 토사. ⓒ프레시안(최형락)

▲ 지하주차장 계단. 한 병사가 조명을 비추고 진흙을 쓸어내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국립국악원 앞 남부순환로는 이날 통행이 재개되지 못했다. ⓒ프레시안(최형락)

▲ 침수된 책상. 초등학교 교과서가 모두 못쓰게 됐다.. ⓒ프레시안(최형락)

▲ 한 노인이 우면산을 바라보고 있다. 오래 살았지만 이런 적은 처음이라고 한다. ⓒ프레시안(최형락)

▲ 형촌마을은 아직도 산에서 물이 들이닥치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저수지 둑이 터져 크게 홍수피해를 입은 형촌마을. ⓒ프레시안(최형락)

▲ 토사는 대문을 부수고 집안으로 밀고 들어왔다. 남태령 전원마을. ⓒ프레시안(최형락)

▲ 모터로 진흙을 빼내려는 작업은 까다롭다. 여러 차례 모터가 멈췄다. ⓒ프레시안(최형락)

▲ 벽에 어른 키 높이까지 침수된 흔적이 남아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군인들은 종일 젖은 전투화와 전투복을 입고 재해 복구에 나섰다. ⓒ프레시안(최형락)

▲ 한 주민이 침수된 방에서 집기류를 정리하고 있다. ⓒ프레시안(최형락)

▲ 반지하의 진흙은 쓸어내지 못하고 담아내야 한다. 피해가 크지만 복구가 늦은 이유다. ⓒ프레시안(최형락)

▲ 반지하방은 완전히 침수됐다. ⓒ프레시안(최형락)

▲ 군인들은 밤까지 주민들의 재해 복구를 도왔다. ⓒ프레시안(최형락)

☞ 사진 더 보기: 이미지프레시안 바로 가기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