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잿더미에서 나온 비극의 결혼사진, 사연은…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잿더미에서 나온 비극의 결혼사진, 사연은…

[포토스케치] 주거 복구운동 들어간 포이동 '재건마을'

30년 전, 거주가 불확실한 도시 빈민을 이주시켜 만든 포이동 '재건마을'. 이 사연 많은 판자촌에 화재가 난 지도 열흘이 넘었다. 주민대책위는 22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방치됐던 화재현장을 걷어내고 주거 복구운동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강남구청이 제안한 임대주택 입주 거부의사도 분명히 했다.

이들은 화재 후 강남구청의 이주 권유가 주민들을 해산시키기 위해서라며, 주민들이 흩어지면 마을은 재개발이 시작돼 다시 돌아올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화재 이후에도 다른 곳으로 옮겨가지 않고 대책위 가건물에서 지낸 것도 이 때문이다. 이들의 말대로 서울시와 강남구청은 이 마을에 재개발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들은 또 강남구청이 주민들을 임대아파트에 이주시키겠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하고 실제로는 거주지에서 너무 멀거나 낙후된 지하 방 등으로 이주시키려 했다며 강하게 비난했다.

불 타 쓰러진 집을 치우면서 사람들은 참담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구석에 가서 울다 오는 사람도 여럿이었다. 잿더미에서 불에 타다 만 앨범을 찾아낸 한 주민은 사진 속 신랑, 신부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연을 털어놓으며 울었다. 토지변상금을 내지 못해 고물 수집에 쓰던 자동차를 압류당한 김천복씨는 생계 수단을 잃고 지병인 진폐증까지 앓는 자신을 돌보느라 고생하던 아내에게 미안함을 전하고 2005년 6월 목을 매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가족의 생계를 위해 남편이 떠난 것에 충격을 받은 부인 임경숙씨도 두 아들을 남겨두고 한 달 후 남편을 따라 세상을 떠난 것이다.

이제 장마다. 포이동 주민들에게 유난히 길고 지루할 올해 장마의 첫날의 풍경을 카메라에 담았다.


▲ 22일 진행된 포이동(지금의 개포4동) 주민들의 주거복구운동 돌입 기자회견 ⓒ프레시안(최형락)
▲ "86년 아시안게임, 88년 올림픽 때 경찰은 우리더러 낮에는 밖에 나오지 말라고 했다. 우린 없었어야 할 존재였다. 서울의 고아원을 지방으로 내쫓던 그 시절 포이동 사람들은 여기에 강제수용돼 살았다" ⓒ프레시안(최형락)
▲ 억울함을 성토하면서 주민들은 모자를 눌러쓰고 좀처럼 고개를 들지 않았다. 오래된 낙인은 여전히 유효했다.
ⓒ프레시안(최형락)
▲ "집이 불탔다고 삶마저 불타버린 것은 아니다. 그 삶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프레시안(최형락)
▲ "아이의 불장난? 이곳을 불태운 건 국가의 비인간적 정책이었다" ⓒ프레시안(최형락)
▲ 각목 뼈대에 함석으로 지붕을 올린 화재현장은 쓰나미의 폐허처럼 평평했다. ⓒ프레시안(최형락)
▲ 몇 권의 앨범이 발견됐다. 화재는 가난 가운데서도 아름다웠던 추억마저 앗아갔다. ⓒ프레시안(최형락)
▲ 김천복씨와 임경숙씨의 결혼사진. 토지변상금을 내지 못해 생계수단이던 자동차를 압류당한 김천복씨는 진폐증으로 고생하다 스스로 생을 마감했다. 같은 해 임경숙씨도 남편이 간 길을 선택했다. ⓒ프레시안(최형락)
▲ 김천복씨의 앨범을 발견한 이웃주민은 울음을 참지 못했다. ⓒ프레시안(최형락)

▲ 많은 사람들이 부자의 땅으로 아는 강남은 부자만의 땅이 아니다. 판자촌이 가장 많은 곳이 강남이다. ⓒ프레시안(최형락)


☞ 사진 더보기: www.imagepressian.com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