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언론인 실명비판을 시작했다. 청와대가 그간 언론 일반이나 <조선> <동아> 등 언론사를 특정해 비판한 적은 많았지만 언론인의 실명을 적시해 비판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백만 홍보수석은 1일, 청와대브리핑에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맹목적 증오를 버리십시오!'라는 글을 실었다.
'논평은 사실에 근거해야 한다…조선일보 김창균 논설위원에게'라는 부제가 붙은 이 글에서 이 수석은 조선일보 김창균 논설위원과 실명을 적시하지 않은 동아일보의 한 논설위원을 향해 "이 두 분은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초지일관 노무현 대통령 흠집 내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생수를 소주라고 우기는 악의적 왜곡은 이제 그만"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백만 "조선일보 김창균 논설위원은 '주제파악'부터 하라"
이 수석은 자신이 언론계에서 일하다가 공무원(국정홍보처 차장)이 된 직후인 지난 2004년 5월 "동아일보의 모 논설위원이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정부와 언론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한 강연을 했는데 언론인으로서 건전한 비판이 아니라 맹목적 비난이었다"고 말했다.
하는 수 없이 "비판을 하려거든 확실히 알고 비판하라"고 브레이크를 걸자 "그는 머쓱한 표정으로 나가고 말았다"고 회고한 이 수석은 조선일보 김창균 논설위원에 대한 실명 비판을 시작했다.
이 수석은 조선일보 8월 30일자 '1백$ 수준 대통령, 2만$ 수준 대통령'이라는 칼럼에 대해 "참여정부 홍보팀을 '노비어천가'나 만들어 배포하는 아부꾼 집단으로 매도하는 것이나, 사실을 확인하지 않고 그릇된 근거를 기초로 자기 주장(참여정부 비난)을 일방적으로 쏟아내는 저돌성"이 "2년 전의 동아일보 모 논설위원이나 이 칼럼을 쓴 조선일보 김창균 논설위원이나 너무나 똑같은 프레임"이라고 주장했다.
이 수석은 문제의 조선일보 칼럼이 비판 대상으로 삼은 자신의 청와대브리핑 게재글 "100달러 시대에 입던 옷을 2만 달러 시대에도 입어야 합니까?"를 다시 한 번 읽고 제대로 비판해 주길 바란다며 "읽고서도 이런 칼럼을 썼다면 국어공부를 다시 하길 감히 부탁 드린다"고 말했다.
또한 이 수석은 김창균 논설위원을 향해 "우리들은 초등학교 때부터 국어시간에 글의 요지와 취지를 알아내는 '주제파악' 공부를 많이 했다"며 "주제파악을 제대로 한 다음 논평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맹공을 가했다.
"맹목적 증오를 거두는 게 조선일보 대주주를 위해서도 필요"
이 수석은 "대통령에 대한 맹목적 증오를 거두라"며 "그것은 조선일보를 위해서도, 조선일보의 선량한 독자를 위해서도, 조선일보의 대주주를 위해서도, 국가와 민족을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나아가 이 수석은 김창균 논설위원의 지난 달 16일자 칼럼('베어벡의 작통권, 벨의 작통권')까지 거론하며 "일반인들로서는 '축구감독'과 '군사지휘관'의 역할 비유가 그럴 듯 하게 들렸을 것"이지만 "베어벡 감독은 언제든지 교체할 수 있지만 벨 한미연합사 사령관에 대한 인사권은 우리에게 없다"고 지적했다.
이 수석은 "조선일보는 편집국장이나 주필 자리에 외국인을 고용할 수 있고 기대에 어긋날 경우 언제든지 해고할 수 있다"며 "김 위원의 논리 비약이 천박하게 보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주장했다.
"볼륨을 잔뜩 키운 스피커의 마이크를 잡고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사실을 함부로 왜곡하여 선량한 대중들에게 유포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인 이 수석은 "조선일보에 대한 현역 기자들의 평가가 흥미롭다"고 말했다.
한국기자협회가 전국 기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조선일보가 영향력 순위는 2위(31.7%)지만 신뢰도 순위는 5위(4.0%)로 나타난 것을 지적한 이 수석은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매체의 논설위원인지, 야당 기관지를 제공하는 정략가인지 구분하기 어렵다"고 비꼬았다.
대응수위 높여도 효과 없는 이유는 무얼까?
'계륵' '약탈정부' 파동으로 청와대가 <조선> <동아>에 취재제한 조치를 내리며 전면전을 선포한 지 한 달이 넘었다.
그 이후 청와대는 대통령이 TV 기자회견에서 "일부 언론은 '노무현 대통령 흔들고 보자' 이거 아니냐"고 '일부 언론'을 직설적으로 비판하고 홍보수석실도 두 신문을 겨냥해 "다시 보는 '아니면 말고' 시리즈"라는 연재물을 청와대브리핑에 게재하는 등 대응 수위를 높이고 있다.
하지만 두 신문의 정당성 여부와 별개로 청와대의 반격은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는 느낌이다.
그리고 '전면전 선포' 기간 동안 유진룡 문화부 전 차관 경질 파동, 김병준 전 부총리 인사를 둘러싼 당청 갈등, '바다이야기' 파문 등 두 언론사가 꽤나 '정당하게' 청와대를 비판할 수 있는 '건수'도 넘쳐났다. 거기에 더해 '빌미'를 자꾸 제공하고 있는 것이나 아닌지 한번 생각해 볼 일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