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문의
메인
오피니언
정치
경제
사회
세계
문화
Books
전국
스페셜
협동조합
첫발 뗀 미·이란 핵협상 일단 순항…19일 후속 회담
석방된 명태균의 분노 "145일 갇혀 굶주린 사자가 콜로세움에 서 있다"
'친한계', '한덕수 출마설'에 "각본은 대통령과 여사 측근, 연출은 '친윤'"
선 그은 이재명 측 "집권하면 정치보복 할 일 없어…가장 큰 피해자는 이재명"
안철수, 김문수·홍준표 겨냥 "탄핵 반대한 이들, 이재명에 필패"
대선 첫 행보로 AI기업 찾는 이재명…안철수 "AI와 반도체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사람"
'한국을 다시 위대하게' 모자 쓴 윤석열 "다 이기고 돌아와…5년이나 3년이나"
"'윤심' 팔아 대권 도전 나경원, 공약이 핵무장? 국민들에겐 극기훈련"
박지원 "'윤건희'는 개선장군도, 월남에서 돌아온 김 상사도 아니다"
민주, 한덕수 향해 "대선 간보기 꼴불견…입장 밝혀라"
전재수 "험지 부산에서 제 역할 다하겠다"…대선 불출마 선언
조갑제 "한덕수 대선 출마 충분히 가능하지만, 이재명한테 안 된다"
김상욱, 尹 '관저 만찬' 보도에 "제왕적…염치가 있어야"
유인태 "이재명은 개헌에 긍정적…당내 반발 때문에 유보"
'반성' 1도 없는 윤석열 "나는 감옥 가도 상관 없지만…청년들 어쩌나"
박정연 기자
미, 중국에 완화 손짓? 스마트폰·반도체 상호관세 면제
김효진 기자
민주 "한덕수, 국정 볼모로 대권 저울질…양심 있나"
대선출마 선언 김경수 "내란 반대 세력 모여 '모두의 정부' 되어야"
파면된 '내란 우두머리' 윤석열, 14일 노출없이 첫 재판 출석한다
허환주 기자
안치용 인문학자, ESG연구소장
'계엄 망상'에 이어 윤석열의 '대선 망상'이 시작됐다
박세열 기자
"누구나 정치 비판하는 사회, 풍자로 정치를 바꾼다"
김성수 <함석헌 평전> 저자
"내 팔뚝에 새겨진 문신이 나치 전쟁범죄의 증거"
김재명 국제분쟁 전문기자
동덕여대 학생들, 정말 '54억' 달할 정도로 기물파손 했을까?[동덕여대생이 직접 말한다]
동덕여대 재학생
'정치인 체포명단' 폭로 홍장원 "한덕수, 선거 관리 걱정된다"
김건희 '갑질' 제보 줄 잇나?…"김건희, 軍기갑차 타고 '관저 드라이브'"
'故이예람 수사개입' 무죄에…민주당 "전익수 방지법 반드시 입법"
정대철 "이재명, 나흘만에 개헌 태도 바꿔…안타깝다"
헌재, 국민의힘 '한덕수 탄핵소추' 권한쟁의 각하…박성재 탄핵안은 기각
'극우 논란'에 김문수 "나만큼 왼쪽을 가본 사람 없다"
이철우 "윤석열, 약주도 한잔 안하셔서 걱정…충성심이 중요하다 하더라"
'이재명 유리 경선룰' 속도전에 비명계 반발…"캠프 대리인단 회의도 없다니"
"이대론 안된다"…'흙수저' 김동연의 마지막 '반란'은 성공할까
'1가구 1주택'에 기반한 집의 역할은 이제 끝났다
오세훈 대선 불출마 선언 "백의종군, 비전 함께하는 후보 돕겠다"
갤럽 조사서 '尹 탄핵 판결 잘했다' 69% vs '잘못됐다' 25%
미·중 무역전쟁 첫 격전지는 아시아…시진핑, 내주 동남아 순방
제주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 쾌거
"'내란 알 박기' 한덕수 탄핵하고 윤석열 재구속해야"
'빨간 모자' 쓴 윤석열에 눈물바다…"윤석열 어게인"·"탄핵 무효"
유승민 "국민의힘 경선, 대국민사기" 격앙…黨선관위는 일축
외신, '관저 퇴거' 尹 선거 영향력 행사 시도 전망… "국민의힘 장악하려 할 것"
"저는 전통이 제시하는 형식보다는 전통이 주목하는 주제에 집중합니다."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2025년 프리츠커상 수상자로 선정된 중국의 건축가 리우지아쿤의 수상 소감이다. 아직까지 한국인 수상자는 한 사람도 없지만 국적으로 보면 이제 중국이 둘, 미국이 8명이고, 일본이 9명으로 가장 많다. 그중 한 사람이 <탈주택_공동체를 설계하는
최재천 법무법인 헤리티지 대표 변호사
불평등의 시대, <자본>을 어떻게 읽어야 할까?
학문의 세계는 독점되지 않고 활짝 열려야 한다. 학문이 사회 발전의 토대였던 시대엔 더욱 그렇다. 독점의 폐해란 얼마나 고약한가. 양극화로 인한 피해를 대중이 고스란히 떠안고 있는 세계 경제에서도 부의 독점은 견고하다. 안타깝게도 활짝 열린 학문적 풍토를 경험해보지도 못한 채 우리는 밀려드는 새 시대를 맞고 있다. 학문하는 사람들만 접근이 가능했던 학문의
김진희 노무법인 벽성 대표
소설가 송금호 신작 <파로호>…두 개의 비극이 담긴 강원도 화천의 호수
송금호 작가가 신작 장편소설 <파로호>를 펴냈다. 작품의 무대는 강원도 화천의 파로호. 일제강점기 강제 노역과 한국전쟁 당시 수많은 희생이 있었던 소다. 소설은 이 호수에 얽힌 두 개의 비극을 통해 민족의 상처와 화해의 가능성을 조명한다. 중공군을 깨뜨렸다는 의미의 파로호(破虜湖)의 원래 이름은 날갯짓 한 번에 구만리를 난다는 뜻을 가진 대붕
왕십리 똥파리, 강남 복부인, 마담뚜…서울, 그 하찮은 것들의 역사
어린 시절 구석기 시대 돌도끼와 동굴 몇 개 암기하다 보면 역사에 대한 흥미가 사라지곤 했다. 그러다보니 정작 우리 시대의 역사, 생활사, 풍속사는 살피지 않았다. 사실 읽을만한 책도 드물었고. 역사 공부는 고대사가 아니라 당대사여야 한다는 믿음으로 산다. 예나 지금이나. '옛 우물에서 맑고 새로운 물을 긷는다.(舊井新水)'라는 신념을 가진 저자 유승훈
자궁절제술이 알려주는 의학의 반여성적 폭력
중세시대부터 수많은 여성을 마녀로 몰아 화형대에서 불태운 것은 여성의 지식과 전문성을 사회에서 배제하기 위한 수단이었다. 여성을 권력에서 배제하는 기나긴 역사적 과정을 통해 국가와 교회는 과학, 의학, 법률과 같은 전문지식을 남성중심적으로 구축할 수 있었다. 종교권력이 과학권력으로 옷을 갈아입을 즈음, 마녀재판으로 여성을 단속하던 가부장제는 이제 '의학'
김차랑 비정규직 창작노동자
지방자치 30년, 해상풍력도 지방정부가 주도할 수 없나
'여사님의 나라', 이제 끝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