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살률, 인구감소지역이 1.2배 높은데…정신과 의사도 적어"

인구감소지역 4곳 중 3곳 자살률, 전국 평균↑…4곳 중 1곳은 정신과 의사 '0'

지난해 인구감소지역의 평균 자살률이 비인구감소지역보다 1.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인구감소지역 4곳 중 1곳에는 정신과 의사가 없었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실이 통계청 자료를 통해 지역 간 자살률을 분석해 9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인구감소지역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는 평균 36.3명으로 비인구감소지역 29.5명보다 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67곳(75.3%)의 인구 10만 명 당 자살자 수가 비인구감소지역보다 많았다. 이에 더해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 상위 10개 지역은 모두 인구감소지역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충남 청양 60.3명 △강원 홍천 59.9명 △강원 정선 56.3명 △전남 진도 55.8명 △경북 봉화 55명 △강원 태백 55명 △충남 보령 54명 △충남 태안 53.1명 △강원 영월 51.5명 △경북 성주 50.4명 등이었다.

정신과 의사도 인구감소지역에서 적었다.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정신과 의사 수는 전국 평균 8.3명이었는데, 인구감소지역 63곳(70.8%)의 정신과 의사 수가 이보다 적었고, 24곳에는 정신과 의사가 없었다.

김 의원은 "인구감소지역 자살률과 정신과 의사 배치 분석을 통해 인구감소지역의 열악한 보건의료환경을 살펴볼 수 있었다"며 "보건복지부는 자살률이 높은 인구감소지역에 대해 심층적인 조사와 연구를 실시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같은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109 또는 SNS상담 마들랜(www.129.go.kr/etc/madlan)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18일 서울 중구 청계광장에서 열린 자살예방을 위한 SOS 마음의 전화 론칭 행사인 '비리브 유(Be:live U) 이음 캠페인'에서 모델이 응원 메시지를 담은 엽서를 우체통에 넣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최용락

내 집은 아니어도 되니 이사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집, 잘릴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충분한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임금과 여가를 보장하는 직장, 아니라고 생각하는 일에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나, 모든 사람이 이 정도쯤이야 쉽게 이루고 사는 세상을 꿈꿉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