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인구감소지역의 평균 자살률이 비인구감소지역보다 1.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인구감소지역 4곳 중 1곳에는 정신과 의사가 없었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실이 통계청 자료를 통해 지역 간 자살률을 분석해 9일 발표한 결과를 보면, 지난해 인구감소지역의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는 평균 36.3명으로 비인구감소지역 29.5명보다 많았다.
지역별로 보면,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67곳(75.3%)의 인구 10만 명 당 자살자 수가 비인구감소지역보다 많았다. 이에 더해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 상위 10개 지역은 모두 인구감소지역이었다.
구체적으로는 △충남 청양 60.3명 △강원 홍천 59.9명 △강원 정선 56.3명 △전남 진도 55.8명 △경북 봉화 55명 △강원 태백 55명 △충남 보령 54명 △충남 태안 53.1명 △강원 영월 51.5명 △경북 성주 50.4명 등이었다.
정신과 의사도 인구감소지역에서 적었다. 지난해 인구 10만 명당 정신과 의사 수는 전국 평균 8.3명이었는데, 인구감소지역 63곳(70.8%)의 정신과 의사 수가 이보다 적었고, 24곳에는 정신과 의사가 없었다.
김 의원은 "인구감소지역 자살률과 정신과 의사 배치 분석을 통해 인구감소지역의 열악한 보건의료환경을 살펴볼 수 있었다"며 "보건복지부는 자살률이 높은 인구감소지역에 대해 심층적인 조사와 연구를 실시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같은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109 또는 SNS상담 마들랜(www.129.go.kr/etc/madlan)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