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시안

검색
  • 제보

  • 문의

  • 메인

  • 오피니언

  • 정치

  • 경제

  • 사회

  • 세계

  • 문화

  • Books

  • 전국

    • 강원
    • 부산/울산
    • 경남
    • 광주/전남
    • 대전/세종/충청
    • 전북
    • 대구/경북
    • 제주
    • 경인
    • 경기북부
  • 스페셜

    • 협동조합 탐방
    • 함께자리
  • 협동조합

  • 로그인
  • 회원가입
  • PC버전

손호철

화가를 꿈꾸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로 진학했다. 독재에 맞서다 제적, 투옥, 강제 징집을 거쳐 8년 만에 졸업했다. 어렵게 기자가 됐지만, '1980년 광주 학살'에 저항하다 유학을 갔고 서강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로 일하며 진보적 학술 활동과 사회운동을 펼쳐왔다. <국가와 민주주의>, <한국과 한국 정치>, <촛불혁명과 2017년 체제> 등 이론서와 <마추픽추 정상에서 라틴아메리카를 보다>, <레드 로드-대장정 13800KM 중국을 보다> 등 역사 기행서를 냈다.

  • 이미지

    100년 전 역사는 사과 필요없다? 오키나와에 새겨진 기록들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이미지

    박헌영 곁으로 떠난 원경 스님을 기리며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이미지

    필생의 숙제를 마친 원경, 홀연히 입적하다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이미지

    생존이 투쟁이던 '승복 색깔 잿빛' 인생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이미지

    박정희 덕에 세상에 나온 '박헌영 이야기'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이미지

    박헌영 영정 앞에 9권 전집을 바치다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이미지

    초라한 절간에서 박헌영 기념사업에 몰두하다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이미지

    박헌영의 아들이 박헌영의 딸을 만나다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이미지

    "나는 박헌영의 아들이다"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이미지

    한국 현대사 재조명을 위한 첫발, 역사문제연구소를 만들다

    손호철 서강대학교 명예교수

  • ◀ 처음
  • 1
  • 2
  • 3
  • 4
  • 5
  • 마지막 ▶
  • 홈으로
  • 로그인
  • PC버전

프레시안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프레시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