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여성계 대표들과 첫 간담회…여성정책 반성했지만, 보완 약속은 없었다

민주당, 여성 정책 부실 인정하면서도 "선거 시기 특수성 이해해달라"

더불어민주당이 이번 대선 국면에서 처음으로 여성계 대표들과 만나 의견을 청취했다. 여성계는 이전 대선에 비해 퇴보한 여성 공약을 지적했다. 민주당은 이런 비판을 받아들이면서도, 대선 전 정책을 보완해달라는 여성계 요구에는 "이번 선거 시기의 특수성을 이해해 달라"는 취지의 말과 함께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22일 <프레시안>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오전 민주당은 '여성단체 경청 간담회' 제하의 비공개 간담회를 열고 여성단체 대표자들과 만났다. 민주당에서는 김민석 상임공동선대위원장, 천준호 전략본부장, 진성준 정책본부장, 백혜련 여성본부장, 이수진 여성본부장, 김남희 여성부본부장 등 정책 결정에 참여하는 핵심 인사들이 대거 참여했다. 다만 이재명 민주당 대선 후보는 간담회에 참여하지 않았다.

한국여성단체연합, 한국YMCA연합회,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한국성폭력상담소, 한국여성민우회, 한국여성노동자회 등으로 구성된 여성계 대표 14인은 간담회에 참석해 3년 전 제20대 대선 당시 민주당이 제시한 성평등 공약에 비해 이번 대선 국면의 여성 의제가 퇴보했다고 비판했다. 이날 일부 여성단체들은 민주당 당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내란 사태를 두고 과거로 돌아가서는 안 된다던 이재명 후보가 과거보다도 못한 공약을 내놓고 있다"며 지난 20대 대선에서 공약한 임신중지 건강보험 적용 확대를 다시 공약하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자리에 참석한 민주당 인사 다수는 "(여성단체 대표들이) 오늘 해주신 말씀을 뼈아프게 들었다", "여성 현장의 절박한 상황이 느껴져서 반성한다"며 여성 공약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들였다.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을 이끌어낸 '탄핵광장'에서 청년 여성들이 선두에 서 있었단 점은 모든 의원이 인정하기도 했다.

다만 대선 전 여성 공약을 보완해야 한다는 비판에는 미온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 인사는 "선거 시기의 특수성을 이해해달라"며 여성계의 요청을 수용하기 어렵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가 여성 대표들의 비판을 받고 사과했다. 그럼에도 민주당 측은 대선 기간 여성 공약을 보강하겠다는 약속은 하지 않았고, 집권 이후 지속적으로 여성정책 관련 협의를 계속하겠다는 말만 되풀이하다 간담회를 마무리했다.

여성계는 여전히 성평등과 여성이 삭제된 민주당의 현 공약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 간담회에 참여한 여성계 인사 A 씨는 이날 <프레시안>에 "여성단체와의 정책논의 자리를 앞으로도 많이 만들겠다고 이야기한 만큼 광장의 목소리에 응답하기를 기다리겠다"고 했다.

또다른 참석자 B 씨 또한 "3년 전 대선보다 정책이 더 후퇴한 점에 여성단체 모두가 우려를 표했다. 한국의 국력, 국격을 고려했을 때도 성평등 국정이 훨씬 더 보완되고 보장되어야 한다는 여성단체 인사의 말씀을 중요하게 여겨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지금 당장 절실한 여성폭력, 임신중단, 초저임금 상황에 성평등 정책이 투입되길 바란다. 뿐만 아니라 성평등 추진체계 강화나 돌봄사회 전환 등 장기계획도 마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2일 경남 양산워터파크공원에서 열린 집중유세에서 '사전투표! 대한민국 변화의 위대한 첫 걸음'이라고 적힌 현수막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상혁

프레시안 박상혁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