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지난 18일 1차 TV토론 이후 보수진영 대선후보들이 자신에 대한 비판 소재로 삼고 있는 '승수효과'의 예시에 대해 "동네에 돈이 돌게 해야 될 것 아닌가"라며 "그런데 이걸 모르는 바보들이 있다", "선동하는 건가"라고 정면 역공을 폈다.
이 후보는 20일 오후 경기 파주시 금릉역 중앙광장 유세에서 "돈이 없어서 경제가 죽는 게 아니고 돈은 많은데 돌지를 않고 딱 멈춰 있어서 경기침체가 오는 것"이라며 "옛날에 할머니가 해주신 말인데 이걸 모르는 바보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정부 정책이란 돈이 돌게 하는 것이다. 돈이 돌게 하면 경제가 똑같은 조건에서도 더 나아진다"며 "이 얘기를 예를 들어서 했더니 이해를 못한 건지 곡해를 하는 건지 이상하게 해석해서 '꼭 만 원 받는 사람이 만 원 쓴다는 보장이 어딨나' 이런 소리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지난 16일 이 후보가 전북 군산 유세 과정에서 '내수경제에 돈이 돌게 해야 한다'는 취지로 "여행객이 호텔에 10만 원의 예약금을 내면 호텔 주인은 이 돈으로 가구점 외상값을 갚고, 가구점 주인은 치킨을 사 먹는다. 치킨집 주인은 문방구에서 물품을 구입하고, 문방구 주인은 호텔에 빚을 갚는다"는 설명을 내놓자, 보수진영에선 "시장경제의 기본 원리조차 무시한 허황된 주장"이라고 비판한 바 있다.
이 후보는 이에 대해 "동네 가게에 돈이 돌면 치킨 가게 주인이 그걸로 매출이 늘고, 그 치킨 값 받은 주인이 막걸리도 한 잔 먹을 것 아닌가"라고 재차 주장하며 "그럼 동네 경제가 조금 나아질 것 아닌가. 이런 걸 승수효과라 한다. 근데 이걸 모르는 바보들이 있다"고 했다.
그는 '돈이 손실 없이 순환될 수 있다는 생각은 현실을 무시하는 것'이란 취지의 비판에 대해서도 "누가 그렇다고 했나. 예를 들어서 최대로 극단적으로 한다면 이렇게 돈이 도는 걸 보여준 것"이라며 "승수효과, 경제 순환효과를 얘기했더니 '왜 10만 원이 (순환해도 그대로) 10만 원이냐'고 한다"고 했다. 그는 "진짜 못 알아듣는 건가, 못 알아듣는 척하는 건가, 다른 사람이 못 알아들으라고 선동하는 것인가"라고 꼬집었다.

이 후보는 또 이날 유세 중 지지자들 사이에서 윤석열 전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전 코바나콘텐츠 대표에 대난 비난조의 이야기가 나오자 "김건희 씨 얘기는 왜 또 하시나, 그런 얘기를 하니까 (국민의힘에서) '배우자 토론'을 하자는 그런 이상한 소리를 한다"고 하기도 했다.
그는 "정치는 대통령이 하는 것이지 부인이 하는 게 아니다"라며 "(이걸) 모르는 사람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럼 아들이 영향을 주면 '아들 토론'도 해야 하나. 친구가 영향을 주면 '측근 토론'도 해야 하나"라고 조소했다. 앞서 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날 오전 제기한 '배우자 토론' 주장을 재차 일축한 것이다.
이 후보는 경기북부 지역 관련 정책에 대해 이야기하면서는 자신의 '사법 리스크' 중 하나로 꼽히는 대장동 의혹사건 재판을 선제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그는 '경기지사 시절 경기도 산하기관을 북부·동부지역으로 이전했다'는 취지로 연설하던 중 "옮기는 중이다. '옮겼다'고 그러면 또 허위사실공표로 기소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제가 옛날에 '대장동 5503억 벌었다'라고 말했더니 '버는 중인데 (돈이) 아직 다 안 들어왔으니까 허위사실공표'라고 기소를 해서 제가 재판을 2년이나 받았다"고 주장하며 "또 꼬투리 잡아서 그럴지도 몰라 조심하겠다"고 했다.
한편 이날 이 후보는 유세 도중 논쟁적 정책인 '투표수당'을 언급하기도 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의정부에서 진행한 유튜브 라이브 방송에서, 투표율 제고 방안에 대해 논하던 중 "호주 등에선 투표하는 사람한테 인센티브를 준다. 어느 나라는 벌금 매긴다고 하는데 벌금은 너무 심하고 인센티브 수당을 주는 것"이라며 "제가 성남시에 있을 때 투표수당을 도입하려 했는데 선관위에서 안 된다고 해서 안 됐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