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이재명의 '345성장전략'에 일갈 "20년 전 레코드 트는 것"

'경제통'인 김동연 더불어민주당 경선후보가 이재명 후보의 '345 성장전략'을 강하게 비판했다. '345 성장전략'은 이 후보의 싱크탱크 '성장과통합'에서 발표한 것으로 '3% 잠재성장률, 4대 수출 강국,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를 의미한다.

김동연 후보는 18일 서울 상암동 MBC 민주당 경선후보자 TV토론에 출연한 이후 기자들을 만난 자리에서 '345 성장전략' 관련해서 "그런 접근은 굉장히 (시대에) 뒤떨어진 이야기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후보는 "지금이 어느 시대인데 3% 성장, 4% 뭐 5% 뭐... 이게 뭐 (MB정부에서 추진한) 747도 아니고"라며 "과거 개발연대에서 봤던 양적 성장에 대한 이야기"라고 선을 그었다.

김 후보는 "이제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해야 된다"면서 질 높은 성장을 언급했다. 김 후보는 이를 두고 "성장의 요소들이 골고루 기여하는 성장"이라며 "동시에 성장의 과실이 여러 사람에게, 특히 취약 계층에게 많이 분배되는 그런 것이 질 높은 성장"이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그것이 지속 가능한 성장이라는 동전의 다른 면이기도 하다"면서 "지금 숫자로 345 하고 하는 것은 흘러간 옛날 레코드라는 생각이 든다. 동의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이재명 후보가 언급한 민주당의 '중도 보수론'에 대해도 날을 세웠다. 김 후보는 "성장과 분배 이야기는 20년 전 이야기"라며 "지금 어느 선진국에서 성장과 분배를 이야기하는가"라고 반문했다.

성장에 방점을 찍는 보수냐, 분배를 강조하는 진보냐, 아니면 그 중간 어느 지점인 중도 보수냐 등의 담론은 20년 전에는 유효했을지 모르나 현재는 의미가 없다는 주장이다.

김 후보는 "지금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야기하고, 성장이 곧 분배가 되고 분배가 다시 성장이 되는 새로운 시대"라며 "지금 성장과 분배를 가지고 성장 우선으로, 양적 성장으로, 3% 성장 등을 이야기하는 것은 20년 전 흘러간 레코드를 트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 후보는 그 이유를 두고 "지금 세상이 바뀌고 국제 환경이 바뀌는 것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며 "과거에는 보수와 진보가 만나는 경제에서의 접경이 시장과 정부와의 역할 문제였기에 작은 정부 얘기도 있었고 큰 정부 얘기도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하지만 "이제는 그런 얘기하는 사람이 없다. 진보도 보수도 큰 정부의 역할을 부인하는 사람이 없고, 진보도 시장의 역할을 부인하지 않는다"며 "그렇기에 지금 뒤늦은 성장 분배 논리를 펴는 것은 현재의 (한국) 경제 규모나 또 국제 조류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는 그러면서 "진보도 시장을 존중한다"면서 "(진보가) 보수와 다른 점은 시장에서 생기는 불공정과 시장 결과에서 나오는 불형평 문제에 있어서 가장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해결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고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인 김동연 경기지사가 1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선거 캠프에서 열린 '백팩 메고 TMI' 기자간담회에서 공약 발표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허환주

2009년 프레시안에 입사한 이후, 사람에 관심을 두고 여러 기사를 썼다. 2012년에는 제1회 온라인저널리즘 '탐사 기획보도 부문' 최우수상을, 2015년에는 한국기자협회에서 '이달의 기자상'을 받기도 했다. 현재는 기획팀에서 일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