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은 7일 이재명 정부 출범 뒤 첫 국정감사에 대해 "김현지로 시작해 김현지로 끝난 '현지 국감'이었다"고 평가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열고 이같이 말한 뒤 "베일 속 주인공이 끝끝내 모습 드러내지 않은 '현지 없는 현지 국감'이었다"라고 덧붙였다. 이재명 정부를 대상으로 한 첫 국감은 전날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실에 대한 국감을 끝으로 막을 내렸다.
특히 송 원내대표는 전날 운영위 국감 출석이 불발된 김현지 제1부속실장이 돌연 이재명 대통령 지시에 따라 '운영위 국감에 언제든 출석할 수 있도록 경내 대기' 상태였다고 늦은 오후 대통령실 발표로 알려진 데 관해 "엽기적인 언론 브리핑"이라고 비판했다.
송 원내대표는 "대통령실은 국회가 (김 실장 증인 채택을) 의결하면 출석하겠다고 국회로 공을 미루고, 여당은 야당의 거듭된 요청에도 요지부동으로 합의를 거부했다"며 "짜고 치는 고스톱"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김현지라는 이름만 나오면 발작하며 육탄 방어에 나서는 민주당 의원들 모습을 보면서 현 정권이 '이재명·김현지 공동 정권'이라는 항간의 이야기가 결코 근거 없지 않다는 생각마저 들었다"고 했다.
아울러 "신성한 국감을 딸 결혼식 축의금 한탕 벌이 계기로 써먹으려 한 최민희 과방위원장의 위법 행위는 국감 흑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라며 최 위원장 행태를 국감 '최악의 장면' 중 하나로 꼽았다.
한편 송 원내대표는 최근 공론화 의제로 떠오른 '새벽 배송 금지'에 관해 "노란봉투법처럼 성장과 혁신에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 거대 노조의 기득권만을 위한 정책 아젠다"라며 "노동자 보호 조치가 아니라 일자리 말살 정책"이라고 맹비난했다.
송 원내대표는 "현실을 무시한 채 이념만 앞세운 정책"이라고 깎아내리면서도,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심야시간대 배송을 제한해야 한다고 촉구하는 노동조합의 핵심 논거 중 하나인 '노동자 건강권 보호'에 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그는 "새벽 배송 금지 주장은 문제가 생기면 일단 막고 보자는 전형적인 좌파식 규제 만능주의 발상"이라며 "집값이 오른다니까 주택을 공급할 생각은 안 하고, 대출 규제로 아예 거래를 틀어 막아버리는 10.15 부동산 대책"과 같다고 빗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