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의 허물은 덮고 내부 고발자 징계?…김행금 의장 ‘보복 논란’ 확산

의회 비위 고발한 장혁 시의원 징계요구…셀프심사·공정성 논란 다시 불붙어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김행금 천안시의회 의장 ⓒ프레시안 DB

충남 천안시의회 김행금 의장이 자신의 비위와 의회 운영 문제를 고발한 국민의힘 장혁 시의원에 대해 징계를 요구하면서 보복성 조치 논란이 커지고 있다.

김 의장과 의장단은 최근 장 의원 징계 요구안을 의회 사무국에 제출했다.

앞서 장 의원은 기자회견을 열고 의장단의 중국 위해시 문등구 해외연수 추진 과정을 “밀실에서 이뤄진 졸속 추진”이라며 비판했다.

그는 “언론 취재가 시작되자 급히 연수를 취소했지만 위약금 부담이 생겼다”며 “튀르키예 초청연수 무산으로 소송까지 진행 중인데 이번에는 ‘셀프 초청’ 의혹까지 더해졌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의장단은 장 의원이 허위사실을 유포해 의회 신뢰를 훼손했다며 징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시의회 안팎에서는 “반복된 예산낭비와 권한남용을 고발한 의원을 징계하려는 것은 명백한 보복”이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김 의장은 지난 5월 공무원 운전원과 관용차를 타고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참석한 사실이 드러나 비난을 샀다.

이후 사과문을 발표했지만 주유비와 통행료 등 공용예산 지출 사실이 밝혀지며 거짓 해명 논란까지 겹쳤다.

당시 민주당 소속 시의원들이 김 의장 징계 요구안을 제출했지만, 김 의장은 한 달이 넘도록 윤리특위에 회부하지 않고 버티다가 끝내 없던 일로 만들었다.

더 큰 논란은 윤리심사 자문위원 7명을 모두 김 의장이 임명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셀프 심사’, ‘셀프 면죄부’라는 비판을 자초했다.

최근에는 김 의장이 오는 8월 북유럽 출장을 계획하면서 공무국외출장 심사 절차조차 거치지 않아 또다시 조례 위반 논란에도 휘말렸다.

한 시의원은 “온갖 불·탈법을 저지른 의장이 제 허물은 덮고 내부 문제를 고발한 동료의원 징계부터 요구하니 개탄스럽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장찬우

대전세종충청취재본부 장찬우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