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콘 뛰어넘는 막장 드라마 속출하는 대선, 정말 괜찮습니까?

[이모저모] 어떠한 아젠다도, 정책도 나오지 않는 대선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기자 성향을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하자면 '저널리즘'과 '아카데미즘'으로 나눌 수 있겠다. 어떤 이슈를 다룰 때 저널리즘에 방점이 찍힌 기자라면 신속성과 포괄성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반면, 아카데미즘을 추구하는 기자라면 속성과 전문성에 힘을 준다.

각각의 단점도 존재한다. 저널리즘은 빠르게, 그리고 핵심만 짚다 보니 이슈가 생겨나는 근본 원인에는 쉽사리 접근하기 어렵다. 아카데미즘은 깊이 있게 이슈를 들여다보지만 신속하게, 즉 대중의 관심에 부합해서 시기적절하게 이슈를 보도하기는 어렵다.

이 이야기를 굳이 꺼내는 이유는 요 몇 년 사이, 기자들 중에는 아카데미즘을 추구하는 이들이 상당수 사라진 듯해서다. 워낙 자극적인 정치 이슈와 법조 이슈가 쏟아지니 언론도 거기에 따라가는 구조가 되어버린 듯하다. 언론은 세상을 비추는 창이라고 했던가. 대중의 관심을 따라갈 수밖에 없는 숙명을 언론은 지니고 있다.

설사 오랜 기간 공들여 깊이 있는 이슈를 다룬다 해도 정치의 자극적인 이슈에 묻히기 일쑤다. 자연히 기자들도 등을 돌릴 수밖에 없는 구조다. 10분이라는 시간을 들여 정치인 SNS 기사를 쓰는 게 3개월 동안 정성스럽게 취재한 기사보다 훨씬 많은 클릭수가 나온다면 무엇을 선택할까.

기자 생활을 하면서 접하기 어려운 굵직한 사안들이 하루가 멀게 쏟아지는 것도 이유 중 하나일 듯하다. 대통령의 막무가내 계엄부터 촛불집회, 탄핵까지. 그리고 이어지는 대선 정국. 하나하나가 한국 현대사에서 쉽사리 접하기 어려운 이슈들이다. 이들 이슈를 발 빠르게 따라가다 보니 지금의 상황이 고착화됐으리라.

더구나 정치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이 하나같이 자극적이고, 그 수준이 개그콘서트를 뛰어넘는다. 계엄에 책임있는 자가 대권에 도전하지 않나, 자기 당 대선 후보가 말을 듣지 않는다고 의원들이 집단 단식농성을 한다. 대선 후보는 자신이 대선 후보라는 사실을 확인하는 가처분 소송을 법원에 제기하고, 이에 반발해 당은 자기들 손으로 뽑은 대선 후보를 취소하고 새 후보를 선출하는 황당한 일까지 진행되고 있다. 2016년 김무성 당시 새누리당 대표의 '옥새 파동'에 비할 바가 아니다.

법조계는 어떤가. 야당 유력 대선후보의 선거법 위반 혐의가 1심에서는 유죄, 2심에서는 무죄, 대법원에서는 다시 유죄 취지로 파기 환송했다. 드라마도 이런 드라마가 없다.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 후보가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단일화를 압박하는 발언 뒤 퇴장하자 항의하며 의총장을 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도통 이해할 수 없는 신박한 일들이 현실 세계에서 벌어지니 대중은 드라마나 영화를 보는 대신 실시간으로 '이들'의 움직임을 보고 싶어 한다. 그래서인지 대중의 이러한 '니즈'에 언론의 발맞추기는 가속화하고 견고해졌다.

한발 더 나아가 포털과 유튜브라는 언론의 또다른 채널들은 이러한 움직임을 강화한다. 그나마 포털은 언론사들로 구성돼 있으니 낫지만, 유튜브에는 '정파적 저널리즘'이 판을 친다. 언론사가 그 속에서 살아남으려면 자극적인 정치 이슈를 넘어서는 정파성을 가져야 한다. 기존 언론이 가기엔 쉽지않은, 그리고 고민스러운 방향이다. 이런 지형 속에서 '아카데미즘'을 향하는 기자들이 줄어든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일 수도 있다.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 대중이 관심 없으니 언론도 관심을 두지 않는다. 자연히 정치권에서도 수월하게 손을 놓는다. 악순환의 반복이다.

한 달도 남지 않은 대선에서 어떤 아젠다도, 정책도 나오지 않고 있다. 앞으로 나올 수 있겠으나, '계엄 적폐 청산'을 뛰어넘어 미래를 말하는 다른 아젠다가 나오긴 요원해 보인다. 계엄 적폐 청산이 무척이나 중요하지만 3년 전 대선에서 나왔던 '문재인 정권 심판'과 공수만 바뀐 상황이라고 느끼는 건 기자의 착각일까.

여전히 노동자들은 철탑에 올라 있고, 산업재해는 줄지 않고 있다. 기후위기는 더욱 심각해지고 있고, 여성과 성소수자를 향한 혐오는 강고해지고 있다. 자영업자들은 극심한 불황에 점포를 내놓고 거리에 나앉고 있고, 청년들은 취업을 걱정한다.

시대가 바뀌면, 조금이라도 앞으로 나아가는 게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허환주

2009년 프레시안에 입사한 이후, 사람에 관심을 두고 여러 기사를 썼다. 2012년에는 제1회 온라인저널리즘 '탐사 기획보도 부문' 최우수상을, 2015년에는 한국기자협회에서 '이달의 기자상'을 받기도 했다. 현재는 기획팀에서 일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