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발표 앞두고…김문수 "나 아니어도 된다", 홍준표 "마음 비웠다"

金 "계엄 사과 요구는 폭력, 굴복 안 해"…"尹, 복귀했으면 열린 대통령 됐을 것"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집권을 막을 수 있다면 자신이 대선 후보가 되지 않아도 괜찮다는 뜻을 밝혔다.

김 전 장관은 29일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단일화와 관련 '꼭 내가 아니어도 이 후보를 막을 수 있다면 선택하겠나'라는 질문에 "그렇다"며 "저는 아무 사심이 없다"고 답했다.

김 전 장관은 한 대행과의 단일화에 긍정적인 이유를 묻는 말에는 이 후보의 대선 승리를 "반드시 막아야 된다"며 "우리가 갈라지면 안 되지 않나"라고 답했다. 이어 "그래서 반(反)이재명 대통합 또는 빅텐트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반이재명 빅텐트의 범위를 묻는 말이 이어지자 그는 "(과거) 민주당을 하셨던 이냑연 후보라든지 누구라도 이재명 후보를 막을 수 있다면 우리는 그 누구와도 손을 잡아야 된다"고 했다.

김 전 장관은 한 대행과의 단일화 방식에 대해서는 "노무현 대통령과 정몽준 대표 사이에, 이질적인 두 후보가 원스톱으로 딱 한 차례 여론조사를 통해 경선"을 했다며 "그런 것도 하나의 사례로 볼 수 있겠다"고 답했다. 그는 "여론조사도 불신하는 사람이 상당히 있다"면서도 "그 이외에 빠른 방법이 뭐가 있나. 없다. 여러 문제가 있지만 가위바위보나 추첨보다는 (여론조사가) 민심을 반영하는 것 아닌가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 대선주자 중 '탄핵 반대파'로 분류되는 김 전 장관은 당 2차 대선 경선 투표 마감일인 전날 SBS 유튜브 '정치컨설팅 스토브리그'에 출연해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 복귀를 바랐다고 말하는 등 여전한 '윤심 바라기' 행보를 보였다.

김 전 장관은 탄핵심판이 기각 혹은 각하됐다면 윤 전 대통령이 "훨씬 더 본인을 반성하고 성찰하면서 더 신중하고 열린 대통령이 됐을 것"이라며 "대통령이 돌아오면 또 계엄하지 않겠냐는 거는 지나친 가정법"이라며 윤 전 대통령을 옹호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 선포 과정에 대해서도 "대통령 책임이 가장 크지만 거기(비상계엄 직전 회의) 가서 제대로 말리지 못한 사람도 책임"이라며 국무위원 탓을 했다.

그러나 김 전 장관은 국회에서 국무위원 중 유일하게 비상계엄에 대한 사과를 거부했던 데 대해서는 "우리는 내란 공범도 아니고, 우리가 무슨 계엄을 선포한 사람도 아니고, 우리는 아무 그런 관계가 없는 사람"이라며 비상계엄과 관련한 국무위원들의 책임을 부인했다. 이어 비상계엄 사과 요구는 "국회의원들이 국무위원을, 장관들을 상대로 해서 폭력행위, 폭행"을 한 것이라며 "저는 부당한 폭행, 불의한 요구에 대해서는 아무리 고문을 해도 굴복 안 한다"고 했다.

한편 김 전 장관과 같은 '탄핵 반대파'에 속하는 홍준표 전 대구시장은 당 대선 경선 결선 진출자 발표일인 이날 페이스북에 "마지막 도전을 앞두고 마음을 비우니 참 편안하다. 어떤 결과가 나오더라도 세상에 순응하고 살아갈 것"이라고 썼다.

그는 이 글에서 같은 당 대선후보들에 대한 한 줄 약평도 남겼는데 "한동훈의 자기애까지도 이해하고 배운다", "김문수의 올바름과 탈레반 같은 원칙주의도 배운다", "안철수의 착함도 참 좋아한다"고 칭찬인지 비판인지 아리송한 말을 남기기도 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28일 서울 여의도 자신의 캠프 사무실에서 가진 정책공약 발표 기자회견에서 수출 5대 강국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최용락

내 집은 아니어도 되니 이사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집, 잘릴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충분한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임금과 여가를 보장하는 직장, 아니라고 생각하는 일에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나, 모든 사람이 이 정도쯤이야 쉽게 이루고 사는 세상을 꿈꿉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