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정 청와대 대변인은 2일 늦은 오후 서면 브리핑을 통해 고인과 과거 울산에 동행한 민정비서관실 행정관 A 씨의 말을 전하며 이같이 밝혔다.
A 행정관은 "김기현 사건에 대해 당시 전혀 몰랐고, 관심도 없던 사안"이라며 울산 방문에 대한 경위와 고인과의 통화 내용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에 따르면, 고인은 울산지검 조사 전날인 지난 달 21일 민정비서관실 관계자에게 전화를 걸어 "울산지검에서 오라고 한다. 갈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왜 부르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울산 고래고기 때문에 간 것 밖에 없는데 왜 부르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어 한 시간 뒤 A 행정관에게 오히려 울산 방문 시기를 물어왔다,
수사 직후인 24일에는 다시 A 행정관에게 전화를 걸어 "앞으로 내가 힘들어질 것 같다. 그런 부분은 내가 감당해야할 것 같다. A 행정관과 상관없고, 제 개인적으로 감당해야할 일인 것 같다"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A 행정관이 전한 울산 방문 경위는 '울산 고래고기 사건'이다. 검찰과 경찰의 다툼이 언론에 크게 보도된 상황에서 2018년 1월 11일 고인과 함께 KTX를 타고 울산에 갔다는 설명이다.
A 행정관은 "본인과 고인은 우선 울산해양경찰서를 오후 3시쯤 방문해 고래고기 사건에 대한 내용과 의견을 청취하고 나왔다"며 "이후 본인은 울산 경찰청으로, 고인은 울산지검으로 가서 각 기관의 의견을 청취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어 "본인은 오후 5시 넘어서 울산 경찰청에 있는 경찰대 동기 등을 만나 경찰 측 의견을 청취한 뒤 귀경했다"며 "고인은 울산지검으로 가서 의견을 청취하고 따로 귀경했다"고 했다.
고 대변인은 이같은 증언을 전하면서, "일부 언론에서 고인을 '백원우 첩보 문건 관여 검찰수사관' '청와대 하명수사 의혹 특감반원'이라고 지칭하며 고인의 명예를 훼손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청와대는 하명수사를 지시한 바 없다"고 강조하며, "고인을 그렇게 지칭하는 것은 그 자체로 허위이자 왜곡"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고인의 명예가 더 이상 훼손되지 않도록 사실에 근거해 보도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밝혔다.
고 대변인은 앞서 이날 오전에도 브리핑을 통해 고인이 직제상 없는 일을 하지 않았다며, "어떤 이유에서 그런 극단적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는지 그 이유가 낱낱이 밝혀져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