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도쿄도 지요다구에 있는 일본 부도칸에서 열린 추도식은 지난 5월 즉위한 나루히토 일왕이 참석한 첫 기념행사여서 과거사에 대한 그의 인식이 주목됐다.
일왕은 기념사를 통해 "전몰자를 추도하고 평화를 기원하는 날을 맞았다"며 "소중한 목숨을 잃은 수많은 사람들과 유족을 생각하며 깊은 슬픔을 새롭게 느낀다"고 밝혔다.
일왕은 "종전 이후 74년 간 여러 사람들의 부단한 노력으로 오늘날 우리나라의 평화와 번영이 구축됐지만, 많은 고난에 빠졌던 국민의 행보를 생각할 때 정말 감개무량하다"고 했다.
일왕은 특히 "전후의 오랫동안 이어진 평화로운 세월을 생각하고 과거를 돌아보며 '깊은 반성'을 하며 두 번 다시 전쟁의 참화가 반복되지 않기를 간절히 기원한다"고 했다.
나루히토 일왕이 사용한 '깊은 반성'이라는 표현은 퇴위한 부친 아키히토 전 일왕의 평화주의를 계승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아키히토 일왕은 2015년 추도식 때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으로 '깊은 반성'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나루히토 일왕은 이어 "산산이 흩어져 쓰러진 사람들에 대해 전국민과 함께 마음으로 추도의 뜻을 표하며, 세계 평화와 우리나라의 발전을 기원한다"고 했다.
일왕과 달리 아베 총리의 추도 메시지에는 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가해 책임을 인정하는 언급이 올해도 포함되지 않았다.
아베 총리는 "조국의 미래를 걱정하며 전장에서 산화한 분들, 종전 후 타향에서 돌아가신 분들,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의 원폭 투하, 도쿄와 오키나와 등에서 폭격과 지상전으로 무참히 희생된 영령"을 열거하며 "지금 우리가 누리고 있는 평화와 번영은 전몰자들의 고귀한 희생 위에 세워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전후 일관되게 평화를 생각하는 나라의 길을 걸어왔다"며 "역사의 교훈을 깊이 가슴에 새기고 세계 평화와 번영에 힘써왔다"고 했다.
그러나 아베 총리는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가해 책임에 관해선 지난 2013년 이후 7년째 언급하지 않았다. 1993년 호소카와 모리히로 총리 이후 일본의 역대 총리들은 추도식에서 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가해 책임을 언급하며 "깊은 반성"이나 "애도" 등의 표현을 사용해왔다.
아베 총리는 전임 총리들이 사용한 "부전(不戰)의 맹세"라는 분명한 표현을 "전쟁의 참화를 다시 반복하지 않겠다는 맹세는 레이와 시대에도 결코 변하지 않는다"는 말로 에둘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