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구속영장 기각…"이미 증거 상당 부분 수집·구속 필요성 부족"

황교안 전 국무총리 구속영장이 기각됐다.

박정호 서울중앙지방법원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14일 오전 3시경 황 전 총리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박 부장판사는 전날 시작된 황 전 총리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진행 결과 "구속 필요성이 부족하고, 도주나 증거인멸 염려 등 구속 사유의 소명이 부족하다"며 기각 이유를 밝혔다.

또 "객관적인 사실관계에 대해서는 증거가 상당 부분 수집된 것으로 보인다"고도 했다.

앞서 조은석 내란외환 특별검사팀은 지난 12일 황 전 총리를 자택에서 체포한 후 내란 선동 및 공무집행방해, 내란특검법 위반(수사방해) 등의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황 전 총리는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되자 그 위법성을 인지하고도 계엄을 지지하는 게시물을 페이스북에 올려 내란 선전에 가담한 혐의를 받았다.

황 전 총리는 이 게시물에서 "지금은 나라의 혼란을 막는 것이 최우선"이며 "나라를 망가뜨린 종북주사파 세력과 부정선거 세력을 반드시 척결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우원식 국회의장과 한동훈 당시 국민의힘 대표를 체포해야 한다고도 했다.

특검팀은 공안검사 출신의 법조 전문가이자 법무부 장관과 여당 대표, 국무총리를 지낸 황 전 총리는 계엄의 위법성을 충분히 인지할 수 있었다고 봤다. 그럼에도 이같은 게시물을 올린 건 고의로 내란을 선전하려는 의도를 가졌던 것으로 풀이했다.

특검팀은 또 황 전 총리가 정당한 법 집행을 거부해 수사에 지장을 줬다며 공무집행방해와 수사 방해 혐의도 있다고 봤다.

앞서 특검팀은 황 전 총리 자택 등을 압수수색 시도했으나 황 전 총리가 문을 걸어 잠그고 버텨 영장 집행에 실패했다.

이후 문자메시지와 서면을 통해 총 세 차례 조사 출석을 요구했으나 황 전 총리는 이에 모두 불응했다. 그러자 특검팀은 다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황 전 총리를 체포했다.

그러나 이번에 법원이 구속영장을 기각함에 따라 황 전 총리는 곧바로 석바오대 불구속 수사를 받게 됐다.

▲내란 선전·선동 혐의 관련 내란특검팀에 의해 체포된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12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