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신문이 구성원들의 반대에도 자회사 허핑턴포스트코리아(허프) 매각 움직임을 재개한 가운데, 허프 노조가 규탄에 나섰다. 그러면서 사재 출자, 노조·시민 출자를 통한 '노동자 인수' 안을 받아들이라고 촉구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허프지부는 6일 서울 마포 한겨레신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겨레가 7일 이사회를 열어 허프포스트코리아를 비즈니스포스트에 매각하려 한다"며 "10월 31일 8차 교섭에서 '허프지부와의 지분 양수도 협상 재개'를 포함해 '모든 가능성을 검토하겠다'고 했던 최우성 한겨레 사장이 11월 3일 '교섭 종료'를 일방 통보한 사실에 심각한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명백한 단체교섭 회피이자 부당노동행위"라며 "한겨레는 당초 협상에서 본인들이 제시했던 특정 매매가를 허프지부가 맞추겠다고 말했음에도, 불과 며칠 만에 입장을 바꾸었다"고 주장했다.
허프지부는 "노동자 인수를 거부한 이유는 '편집·경영 분리 원칙에 어긋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는 일절 근거 없는 마타도어이며, 외부 매수자인 비즈니스포스트에는 적용하지 않은 이중잣대"라며 "허프지부는 사재 출자와 노조·시민 출자를 통해 법인 명의의 투명한 인수 구조를 이미 제시했다"고 밝혔다.
허프지부는 "비즈니스포스트야 말로 실질적으로 1인이 지배하는 구조"라며 "한겨레가 이 같은 1인 지배 매체에는 열려 있고, 10년간 허프를 키워온 노동자들에게만 문을 닫는 것은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위선"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거버넌스 문제는 노동자 인수를 거부하기 위한 표면상의 이유일 뿐이고, 그 사이에 비즈니스포스트가 더 높은 금전적 보상을 제시했기 때문 아닌가"라며 "결국 돈 때문에 그동안 무(無)경영 상태에서 허프 현금 자산을 일궈온 허프 노동자들을 길거리로 내몰겠다는 거 아닌가? 경영진도 없는 상태에서 허프를 위해 몸을 갈아 일해온 허프 노동자들이 왜 최우성 사장의 재정난을 메우기 위한 현금 확보 수단이 되어야 하나"라고 질타했다.
허프지부는 "국민주로 태어난 한겨레가 또 다른 공익 언론의 탄생을 가로막아서는 안 된다. 우리는 노동자의 손으로, 시민과 함께 허프를 지킬 것"이라며 교섭 재개와 노동자 인수안 정식 의제 상정을 요구했다.
앞서 한겨레신문은 지난 7월 허프 매각을 추진하다 허프지부와 신문사 내부 구성원 등의 반발에 부딪치자 잠정 중단하고 허프지부와 관련 교섭을 진행했지만 현재 현재 중단된 상황이다.
매각 사실이 알려졌던 지난 7월 31일 언론노조 한겨레지부는 "최우성 대표이사 및 경영진에 위법적이고 강압적인 매각 절차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며 "지금의 한겨레는 자회사 노동자에 대한 최소한의 책임조차 외면하며 우리의 창간 정신과 정체성을 내던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8월 1일 언론노조 씨네21지부도 "같은 자회사 노동자로서 이 사태를 심각하게 바라보며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허프 노동조합의 정당한 투쟁에 연대하며, 자회사 노동자 전체를 위협하는 일방적 구조조정 시도에 함께 맞설 것임을 밝힌다"고 선언했다.


전체댓글 0